![]() ![]() |
![]() △ 물가안정을 위한 방법 |
물가안정을 이루기 위한 주요한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임금과 가격을 더 이상 오르지 못하게 관리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시중에 풀려 있는 돈의 양을 적절히 조절하거나 정부가 그 씀씀이와 국민들로부터 거둬들이는 세금을 조절하여 나라 전체의 수요를 알맞은 수준으로 안정시키는 것이다. |
![]() |
물가상승요인 중 공급가격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주요 생산비용의 하나인 임금이나 제품가격을 직접 관리하는 방법이 있다. 즉 노동조합과 경영자단체 또는 정부가 임금이나 가격의 상승폭에 대해 일정한 기준을 설정하고 기업가와 노동조합이 자발적으로 이를 지키도록 설득하거나 정부가 임금이나 가격을 일방적으로 묶어놓아 올라가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물가상승을 방지하는 방법이다. |
![]() <<------- 임금 및 가격관리의 효과 |
![]() | |
![]() ![]() |
우리는 앞에서 나라 전체의 공급보다 수요가 많아지면 물가가 오르게 된다고 설명하였다. 따라서
나라 전체의 공급을 늘리거나 수요를 줄이면 물가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먼저 나라 전체의 공급을 늘리기 위해서는 농산물을 더 많이 재배하거나
공장을 많이 지어 더 많은 물건을 만들어 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일은 갑자기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공급을 늘려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가격이 크게 오르는 품목을 수입하거나 수출을 줄이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나라 전체의 수요를 관리하는 방법에는 정부가 고속도로나 다목적댐 건설 등과 같은 정부사업의 규모를 조절하거나 국민으로부터 받아들이는 세금을 조절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앞에서 강조한 바와 같이 나라 전체의 수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바로 돈의 양이기 때문에 수요를 관리하는 데는 나라경제 상황에 맞추어 돈의 양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겠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렇게 돈의 양을 관리하는 일을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맡아서 하고 있다. << ------- 통화관리와 한국은행 |
![]() |
![]() 한국은행은 물가안정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금리를 조절함으로써 돈의 양을 간접적으로 조절하고 있다. 즉 시중에 돈이 부족하게 되면 금리를 내려 돈의 공급을 늘리고, 반대로 돈이 너무 많게 되면 금리를 올려 돈의 공급을 줄이고 있다. |
출처 : 새빛
글쓴이 : 새빛 원글보기
메모 :
'펀드,주식,적금예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김종철의 최적투자 33혁명 (0) | 2011.05.24 |
---|---|
[스크랩] 물가는 왜 안정되어야 하나? (0) | 2011.05.24 |
[스크랩] 물가안정, 왜 필요할까요? (0) | 2011.05.24 |
[스크랩] 물가가 오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0) | 2011.05.24 |
[스크랩] 실패자의 10가지 병 (0) | 2010.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