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그러면
물가는 어떤 경우에 올라가게 될까요? 물가가 오르는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대체로 통화량의 지나친 증가, 물건을 만드는데 들어가는
생산원가의 상승, 그리고 물가오름세심리의 확산 등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
![]() |
물건을 사려는 수요가 물건의 공급보다 많으면 초과수요가 발생하여 물가가 오르게 됩니다. 초과수요가 생기는 것은 물건의 양보다 돈의 양이 더 빨리 늘어나, 다시 말해 통화증가율이 경제성장률보다 높아, 돈이 물건에 비해 상대적으로 흔해지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돈이 흔해지면 전반적으로 물가가 상승합니다. 특히 지속적인 물가상승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주로 통화량의 지속적인 증가 때문에 일어납니다. |
![]() |
그러나 대부분의 공장이 충분히 가동되고 있고 실업이 거의 없는 완전고용상태에서는 물건의 생산을 더 이상 늘리기 어려우므로 늘어난 돈으로 생긴 수요증가는 대부분 물가상승을 가져오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돈을 많이 풀어 경제의 능력 이상으로 높은 성장을 추구하게 되면 필연적으로 인플레이션이 초래되기 마련입니다. |
![]() 지나친 통화증가가 물가상승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가를 말해주는 역사적인 사례는 많습니다. 제1차세계대전 직후 패전국인 독일에서는 돈이 너무 발행되어 하루사이에도 물가가 몇 배씩 오르는 등 인플레이션의 정도가 너무나 극심하여 돈을 휴지나 불쏘시개로 사용하기까지 하였습니다. 또 지난 1970년대 초까지만 해도 비교적 건실한 경제성장을 해 오던 중남미의 많은 나라들이 정치사회적 혼란을 겪으면서 정부가 돈을 과다하게 찍어 쓴 결과 거의 매년 물가가 천정부지(天井不知)로 치솟았고 심지어 한 해에 물가가 3,000%나 오른 경우도 있었습니다. |
![]() |
![]() 이렇다 할 자원이 없어 원자재를 해외에서 거의 수입해야 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수입원자재의 가격이 오르면 이를 원료로 하는 물건의 가격이 따라 올라 국내물가가 전반적으로 상승하게 되는 것입니다. 과거 두 차례의 석유파동 때에 원유값이 폭등하여 국내물가가 크게 올랐던 것을 우리는 생생히 기억하고 있습니다. |
![]() 또한 생산원가 중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임금이 지나치게 오르는 경우에도 물가가 상승하게 됩니다. 물론 임금이 오르더라도 근로자 한 사람이 일정한 시간에 만들어 내는 물건의 양, 곧 노동생산성이 더 빨리 향상된다면 물가는 오르지 않을 것입니다. 반대로 임금이 생산성보다 더 빨리 오르면 그만큼 생산원가가 상승하여 물가가 오르게 됩니다. |
그러나 생산원가가 오르는 데서 비롯된 물가상승은 수요가 늘어나지 않으면 오래 계속되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면 임금이 올라 기업들이 물건값을 올리면 수요가 줄어들어 물건이 잘 팔리지 않게 될 것입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물건의 생산을 줄이게 되므로 쉬는 기계나 공장이 늘어나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일자리를 구하기가 어려워져 노는 사람이 많아지므로 임금이 계속해서 오르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그렇지만 이 때에도 생산이 줄고 실업이 늘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 돈을 푸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수요를 증가시키면 물가는 계속 오르게 될 것입니다. |
![]() |
![]() 또 근로자들은 물가가 오를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임금을 더 울려줄 것을 요구하게 되며 이에 따른 임금상승은 다시 물건값을 올리는 악순환을 가져옵니다. |
위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물가상승이 맨 처음 어떤 원인으로 시작됐든지 간에 돈의 양이 늘어나지 않으면 물가가 계속해서 오르는 인플레이션으로까지 번지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인플레이션은 예외없이 물건의 양에 비해 돈의 양이 더 빨리 늘어나는 데서 비롯되는 것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
(출처 : 한국은행)
출처 : 새빛
글쓴이 : 새빛 원글보기
메모 :
'펀드,주식,적금예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물가 안정을 위한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나? (0) | 2011.05.24 |
---|---|
[스크랩] 물가안정, 왜 필요할까요? (0) | 2011.05.24 |
[스크랩] 실패자의 10가지 병 (0) | 2010.05.27 |
[스크랩] 10가지 기술적 매매기초 (0) | 2010.05.27 |
[스크랩] Re: 국내최저수수료 0.15% (0) | 2010.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