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 위구르 지역연구 자료
Ⅰ. 일반개관
1. 위 치 : 中國(중국) 新疆省(신강성) 위구르 자치구 2. 면 적 : 164만 7천㎢(중국의 1/6, 남한(98,500㎢)의 17배) 3. 주요도시 : 우루무치, 카쉬가르, 투르판 4. 행정구역 : 3개 직할시, 5개 자치주, 8개 지구1), 15개 현급시, 64개 현, 6개 자치현 5. 분 포 : 신강성 위구르 자치구는 중국 서북 단에 위치하며, 몽고, 러시아, 카작스탄, 키르키즈, 타작스탄, 아프카니스탄, 파키스탄, 인도 등 8개국과 접경하고 있다. 6. 기 후 : 대륙성 건조 및 반건조 기후 지역. 북부는 춥지만 많은 비와 눈 (연평균 강수량 200㎜, 1월평균 -20℃, 7월평균 20℃) 남부는 따뜻하면서 건조. (연평균 강수량 50㎜, 1월평균 -10℃, 7월평균 25℃) 7. 지형 및 지세
천산북로(天山北路)는 청조 때 현재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 북반(北半)을 가리키던 호칭하던 곳으로 지금의 준가르 분지에 해당한다. 이 이름은 천산 산맥의 북족을 통과하는 동서간 교통로라는 의미에서 붙여졌다. 이 길은 알타이 산맥과 천산 산맥의 사이를 통과하며 사막과 스텝으로 이루어져 있고 또한 산기슭에는 오아시스가 발달되어 있다. 천산남로는 천산 산맥을 따라 형성된 고대의 동서간의 육상 교통 간선의 하나로 청조 때에는 이 이름으로 타림분지를 자칭하였다. 이 지방에는 천산 산맥의 남쪽 기슭에 동쪽으로부터 쿠무르, 투르판, 카라샤르, 쿠차, 아쿠스, 카슈가르 등 오아시스 도시가 늘어서 있고 별도로 타클라마칸 사막 남쪽에 알칸드, 호탄 등이 있다.
8. 총인구 : 1천 580만명. 한족(594만명, 38%)과 47개 소수민족(986만명, 62%)으로 구성. 주요민족은 13개. 그 중 위구르족과 한족이 주요 민족. 1) 민족별 인구 : 위구르족(748만, 46.7%), 한족(616만, 38.4%), 카작족(118만, 7.4%), 회족 (72만, 4.5%), 몽고족(14만), 석백족(3.6만), 타직족(3.5만), 만주족(1.8만), 우즈벡족(1.2만), 러시아족(0.84만), 따우르족(0.57만), 따따르족(0.41만), 기타 36개 소수민족(7.2만) 2) 농업 인구 : 1000만명(63%). 비농업인구 580만명(37%)으로 도시로의 인구집중이 진행중 3) 무슬림 인구 : 10개 민족, 760여만명, 신장인구의 58% 위구르, 카작, 키르키즈, 쌀라, 우즈벡, 타타르(투르크계), 타직(페르시아계), 똥시앙, 빠오안(몽골계), 회족
위구르족은 중국 내 55개 소수민족 중 장족과 회족에 이어 세 번째로 인구가 많은 소수민족이다. 통계상으로는 7백만명 정도이지만 계획생육(산아제한정책)이 제대로 실시되지 않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약 1천만 정도가 될 것으로 추산된다.
9. 언 어 : 위구르어(알타이계 투르크계통 언어), 중국어(공용어) 10. 문 자 : 변형된 아랍문자, 한자
Ⅱ. 경제 상황 1. 경제체제 와 경제정책 중국은 과거 ‘공산주의식계획경제’ 시대에서 개혁개방을 통하여 ‘사회주의식시장경제’체제로 전환이 되었고, 소수민족이 대부분 거처하는 서부 내륙지역은 개발의 차선 지역으로 연해 중심도시와는 심한 빈부의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최근 중국은 ‘西氣東輸(서기동수: 서부내륙의 자원을 동부 연안지대로 운송한다)‘ 는 거대한 프로젝트를 세워 ’서부 대 개척‘ 시대에 접어들고 있다.
2. 자원 및 주요산업 주요 농산물은 전국 최고 생산량의 ‘면화’와 식용유, 곡류, 사탕무우, 사과, 배. 포도, 하미과 등이 있으며, 중국 제2의 목축지역으로 각종 낙농제품과 약초 등이 유명하다. 주요 광산자원으로는 중국전체 매장량의 38%에 해당하는 석탄과 세계최대 미개발 유전지대 인 타림분지가 있다.
1) 주요산업 : 농업, 석유채굴업, 석유가공업, 방직업, 식품업, 목축업 2) 주요 농축산물 : 면화, 식용유곡물(옥수수, 땅콩, 해바라기, 콩류)은 전국 최고 사탕무우, 하미과(메론), 포도, 홉(맥주원료), 사과, 배 등 : 몽골의 뒤를 이어 중국 두 번째의 목축지역(양, 소, 말, 낙타 유목) 3) 주요 광산자원 : 석탄, 석유 매장량 전국 최고, 천연가스, 철 4) 주요 수출품 : 설탕, 면사, 옥수수, 쌀, 육류, 면직물 5) 주요 수입품 : 승용차, 중장비, 통신설비, 석면
3. 경제수준 대도시의 경우는 현대문명이 들어와 있지만 지방의 경우는 매우 낙후되어 있어 한국의 과거 60 ~ 70년대 수준이며, 일반 도시 노동자의 월급은 400元 ~ 800元(약 5만 ~ 10만원) 이다. 그러나 대도시의 정치 및 상권은 한족이 장악하고 있으며, 대다수의 위구르 인들은 3D업종과 저임금 노동에 종사하고 있다. 천산산맥 이북의 북강지역에는 주로 한족과, 위구르족을 제외한 기타 소수민족들이 거주하고, 천산산맥 이남의 남강 지역에는 주로 위구르족이 거주한다. 한족의 75.4%, 카자흐족의 96.3%, 회족의 83.8%, 몽고족의 68.4%가 북강지역에 거주하면서 한족과 회족은 주로 운송업과 무역에 종사하고, 카자흐족과 몽골족은 유목생활을 하면서 목축업에 종사하고 있다. 위구르족은 80% 이상이 남강에 거주하면서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Humphrey & Sneath, 1996, p.210) 특히 客什(카쉬가르)은 위구르족의 문화?종교적 중심지이다. 이러한 지역적 분리는 1949년 이후 신강성으로 이주해 온 한족들이 대부분 천산산맥 북쪽의 도시들에 정착하면서 매우 분명하게 드러나기 시작했다. (Barnett, A. D., 1993, p.379-380) 대도시의 경우 현대문명이 들어와 있어 매우 발전해 있지만, 지방의 경우 매우 낙후되어 있으며 우리나라 70년대 정도의 생활수준을 보인다.
4. 환률 및 통화 중국의 RMB(人民幣 ; 인민폐) 가 통용되고 있으며, 인민폐 1元 ≒ 136 원(韓貨) 이다. 편집자주) 2002년 5월 현재 1元="약" 160원(韓貨정도이며 계속 오르고 있는 추세다)
5. 신강붐과 위구르족 유라시아 대륙의 한 복판을 차지하고 있는 신강은 과거 서역으로 불린 “실크로드”(絲綢之路)의 거점이었지만,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래로 중국국방의 최전선 지역으로서, 소련을 의식한 중국정부에 의해 군사요새화 되면서 경제발전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먼저 90년대 들어 ‘신강붐’이 일어나게 된 배경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국제 정치?경제적 요인 중국의 유명한 핵실험장이 있을 만큼 군사 요새화한 신강이 새로운 발전의 전기를 맞은 것은 구소련의 해체와 냉전체재의 종식 이후, 서부 변경에 대한 중국정부의 위기의식이 사라지고 중앙아시아 신생 국가들과 새로운 경제적 연대를 모색하면서부터이다. 중국은 국경무역 및 값싼 노동력과 소비재, 무기 등의 수출을 통하여 이들 이슬람 국가들과 긴밀한 관계를 구축해 나가려 했고 이러한 관계를 지속하기 위해 자국의 이슬람계 소수민족에 대한 정책적 배려를 고려하게 되었던 것이다. (Gladney, D.C., 1992, p.3)
2) 국내 정치?경제적 요인 중국은 지난 79년 개혁개방정책이 본격화한 이래 동부연해지구와 서부내륙지역의 경제수준 격차가 심화되고 있다. 동부의 많은 중국 농민들에게 번영의 희망을 안겨준 향진기업이 서부 내륙지역에서는 거의 발전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Yao, S. & Liu, J., 1998 ; 張振華. 1998 ; 張潤君. 1998 ; 楊金星, 1996)2) 최근 이러한 동서 지역격차가 서부 소수민족의 사회적 불만을 고조시켜 정치적 독립운동으로까지 비화될 것을 염려한 중국정부는 서북 변경의 가장 위험한 지역인 신강에 대해 당근정책을 내놓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이는 중앙아시아의 신생 이슬람 국가들과의 경제적 교류를 위한 포석이기도 하다. 이러한 국제?국내적 환경변화 가운데, 1990년 9월 12일, 아시아 대륙과 유럽을 잇는 유라시아 대륙 횡단 철도가 개통되면서부터 신강은 세계의 주목을 끌기 시작했다. 시베리아 횡단 철도에 이어 “제 2의 유라시아 대륙교”라 불리는 이 철도의 개통은 현대판 실크로드의 재현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 동안의 강소성 연운항을 시발점으로 신강위구르자치구의 아라산커우(阿拉山口)를 통과하여 카작스탄과 러시아 경내를 거쳐 멀리 네덜란드의 암스텔담까지 장장 1만 1천㎞에 이르는 이 철도는 국경 없는 경제 시대의 황금회랑인 셈이다. 이렇게 볼 때, 동서양을 연결하는 최단 철도 노선의 거점인 신강은 이제 더 이상 내륙 오지가 아니라 동-서 연계의 중심지가 된 것이다. 이에 중국정부는 1992년 신강성을 국가지정 10대 경제구 중 하나인 “신강경제개발구”로 지정하여 석유 및 석유화학, 농림목축업을 중점육성 산업으로 지정하고, 연이어 1993년 6월에는 신강의 독특한 지정학적 위치와 막대한 부존 자원(석유, 석탄, 철광석, 베륨, 장석, 사문석, 점토, 망간 등)의 이점에 착안한 “신강중점개발계획”을 내놓았다. 또한 중앙은 부존자원이 풍부하고 전국인구의 약 2/3를 점하는 중?서부 내륙지역에 향진기업의 발전을 적극 지원함으로써 가공?조립형 산업을 육성한다는 계획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중국인민은행은 1993년부터 2000년까지 9년간에 걸쳐 농업은행과 농촌신용합작사를 통해 매년 50억元씩 총 450억元의 향진기업발전자금을 대출해 주기로 결정하였다. (金益洙, 1993, p.133-135) 이렇게 유라시아 대륙 횡단 철도 개통으로 확보하게 된 지리적인 이점과 대량의 석유, 석탄, 천연가스 등의 자원개발 계획 및 경공업 위주의 산업육성정책이 어우러지면서 세계 굴지의 석유회사들과 대만, 홍콩, 일본 기업이 신강에 몰렸고, 90년대 신강붐이 일어나게 되었던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신강은 1990년대 이후 연평균 10% 내외의 꾸준한 경제성장률을 유지하여 1995년도 지역 총생산액은 1985년도에 비해 8배 이상 증가한 835억元에 달하였다.
6. 주요산업 및 자원 현재 신강의 주요 생산품인 식량, 면화, 석유, 광물자원 등은 모두 중국의 12억 인구가 기본적인 생존을 위해 필수적인 품목들로서, 이는 향후 신강의 지역 경제적 가치가 점차 커질 것임을 의미한다. 1차: 2차 : 3차 산업별로 보면 각각 28% : 38%: 34%를 점유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2차산업 비중이 낮아지는 반면 1차, 3차 산업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1) 농림목축업 1995년 농림목축업 총생산액은 415억元이며 식량 생산량은 730만 톤으로 식량의 자급이 가능하나 수송문제로 지역에 따라 식량부족을 겪는 곳도 있다. 목축업이 발달하여 면양, 염소, 말, 소, 낙타 등을 사육하며 양질의 캐시미어가 다량 생산되고 있으며, 주요 농작물로는 면화, 식용유곡물(옥수수, 땅콩, 해바라기, 콩류), 밀, 벼, 사탕무우, 과일(하미과, 포도, 사과 등)이며 캐시미어와 면화가 특산물이다. 이 지역에는 산 위에서 눈이 녹아 흘러내리는 물을 대어 농토를 비옥하게 하는 카레즈라 불려지는 지하터널이 개발되어 있기 때문에 농업이 가능하다. 투르판은 950여 개의 카레즈로 유명하다. 이 지역의 농업은 인민공사라고 불려지는 집단농장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모택동 시기의 유산인 인민공사는 인구 약 1만 명 내지 1만 5천 명으로 이루어진 집단농장으로 호탄지구의 경우 12개의 인민공사가 있고 산하에 21개의 생산대대, 다시 149개의 생산대로 나뉘며3) 생산대는 2-3인 단위의 작업소조로 나뉜다. (최한우, 1997, p.600) 최근 중앙 정부는 신강에서의 토지 임대기한 연장, 지방정부의 황무지개발 심의비준권 확대, 농부산품 수매량 및 수매가격 인상 증가 등과 같은 일련의 특혜정책을 부여하였고, 황무지 개발을 위해 토지를 무상제공하거나 토지구입시 이자를 보조해주는 방식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신강에는 농업개발이 가능한 약 1천만 ha의 황무지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최근에는 이의 개발을 위해 국내기업 뿐만 아니라 캐나다, 미국, 이스라엘, 홍콩 등의 기업들이 참여를 추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농업 부문 개발정책에 힘입어 1994-95년 중 농림목축업 총생산액은 10% 내외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였다.
2) 공업 1995년도 공업 총생산액을 802억元(전국의 0.87%)에 불과하며 주요 산업으로는 석유채굴업(전국 3위) 및 가공업, 식품업, 방직업(면화재배와 양잠업을 통한 면, 모방직 공업, 융단업) 등이 있다. 주요 공산품은 원유, 설탕, 석탄, 시멘트, 화학비료, 천연가스, 알루미튬 등과 같은 자원관련 제품이다. 1995년 말 현재 경공업 대 중공업의 비중은 45 : 55로 중공업의 비중이 약간 높으나 점차 경공업의 비중이 커지고 있어 2000년에는 경공업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신강 정부는 경공업 부문의 발전 가속화를 위해 9?5기간(1996-2000) 중 제당, 식품통조림, 보리가공, 피혁, 비닐, 화학세제, 양조 등 8개 경공업 부문을 핵심 산업으로 선정하고 이 분야에 대한 투자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1993년 이후 공업생산액은 매년 30% 이상 증가하였으나 공업부문의 효율성 측면에서는 오히려 크게 악화되었다고 알려지고 있어 단순 경제지표만으로 신강의 정확한 실상을 이해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1996년 1-7월 중 대부분의 국유기업들은 자기보유 자금의 부족으로 부채를 제대로 상환하지 못하여 은행대출을 통해 투자를 실시하였고 이러한 과정에서 제조원가가 크게 상승하여 적자규모가 더욱 확대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정확한 규모는 알 수 없으나 신강의 공업총생산액 대비 기업적자액 비중은 30개 성, 시, 자치구 중에서 가장 큰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3) 광업 및 에너지 광물자원은 총 128종이 매장되어 있으며 그 중 베륨, 리튬, 장석, 사문석, 점토 등 8종의 매장량은 전국 제 1위이고, 이 외 주요 자원으로는 석탄, 석유, 철광석, 망간, 크롬, 납, 아연, 동, 몰리브덴, 소금, 석면 등이 있다. 자원 개발의 여지는 풍부하나 자금부족으로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중에서 석유와 천연가스의 매장량은 각각 30억 톤(전국의 30%), 5,100억 ㎥(전국의 34%)에 달한다. 특히 석유생산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어 1996년도 전국 총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96년 9%에서 2000년에는 16%까지 상승될 전망이다. 이러한 석유생산 증대 및 유전개발 확대는 현재 중앙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석유화학공업의 서부이전 움직임을 더욱 촉진시킬 것으로 보이는데, 현재는 국무원의 비준 하에 총 투자규모 100억元의 타림 석유화학 및 화학비료공장과 澤普석유화학 공장의 확장작업이 추진되고 있다.
7. 대외무역관계 1995년 대외교역액은 14.3억 달러로 전년대비 37.2%나 증가하였으며 수출과 수입의 비중은 54 : 46 으로 다른 지역이 압도적인 출초현상을 보이는 것과는 달리 비교적 무역수지 균형을 이루고 있다. 주요 수출품은 캐시미어, 면직물, 설탕, 배, 등의 1차 산품 혹은 단순 가공품이며 수입품은 방직기기, 철강, 화학비료, 의료기기, 플랜트 등의 자본재이다. 주요 수출대상국은 홍콩이 1.4억 달러로 제1위이며, 카작스탄, 키르기즈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공화국들과의 변경무역 활성화로 인해 이들 3개국과의 수출비중이 32%에 달한다. 수입의 경우에도 카작스탄과 키르기즈스탄이 1, 2위를 차지하여 이들로부터의 수입비중이 57%에 달한다. 그러나 거리에 다니는 자동차와 오토바이가 대부분 일제인 것에 일본의 신강 진출 또한 주목할만하다. 게다가 일본은 유적지 발굴과 보존을 도와 주고 있어서 위구르인들에게 매우 좋은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한국정부의 대중국 진출은 북경을 비롯한 동남부 대도시에는 활발하지만 신강지역에는 아직 미비하다. 우루무치시에는 삼성과 대우, 현대의 진출을 알 수 있는 대형 전광판이 보이고 한화, 쌍용 등이 진출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 정도는 일본이나 다른 국가들에 비해 미미하다.
9. 신강의 지역별 특성(北疆과 南彊, 그리고 東疆) 신강 지역의 농촌주민 1인당 연평균 순수입은 1996년 1290元(1290元*130원="167,700원)으로" 전국 30개 성, 시, 자치구 중 25위를 차지할 정도로 낮다. 그러나 신강 내에서도 지역에 따라 경제구조와 수입수준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중국 학자들은 대개 신강을 크게 북강, 남강, 동강의 세 개의 지역으로 나누어 설명하는데, <도표1>은 그러한 구분에 따른 지역적-민족적 격차를 보여준다.(굵은 글씨는 위구르족이 지역 주민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위구르족 중심 지역임을 나타낸다.)
<도표1> 신강성 각 지역별 경제지수(1992년)4)
<도표1>에서 다음과 같은 지역별 특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북강 지역은 명목상으로는 회족자치주, 몽고족자치주, 카자흐족 자치주의 소수민족 자치주로 이루어져 있지만 실질적인 인구구성에서는 한족 중심 지역이다. 또한 경제구조에서 2차 산업 비율이 높으며, 1인당 연평균 수입이 비교적 높다. 남강 지역은 巴音郭楞蒙古自治州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이 모두 위구르 중심 지역이다.巴音郭楞蒙古自治州는 남강의 오른쪽 절반을 차지하고 있고, 나머지 위구르 중심 지역들이 남강의 왼쪽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지도2> 참조) 한족 중심 지역인 巴音郭楞蒙古自治州는 나머지 위구르족 중심 지역들에 비해 역시 월등한 2차 산업율과 연평균 수입을 보이고 있는 점에서 북강의 한족중심지역과 같다. 위구르족 중심 지역들은 경제구조에서 1차 산업이 차지하는 비율이 모두 50%를 웃돌고 1인당 연평균 수입 또한 낮다. 주목할만한 것은 위구르 지역간에서도 상당한 수입격차가 난다는 사실인데, 阿克蘇地區의 1인당 연평균 수입은 克?勒蘇柯爾克?自治州의 약 2배이다. 동강지역은 한족 중심 지역인 哈密地區와 위구르족 중심 지역인 吐魯番地區로 이루어져 있다. 특기할 만한 것은 위구르족 중심 지역인 吐魯番地區가 높은 2차 산업율과 1인당 연평균 수입을 보인다는 사실이다. 이렇게 위구르 중심 지역이면서도 기타 위구르 지역과는 다른 경제적 특성을 보인다는 사실이, 지역적으로만 따지면 남강에 속한 吐魯番地區를 동강이라는 이질적 범주로 분리시키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는 좀 더 생각해 보아야 할 구석이 있다. <지도2>를 보면 남강 동쪽의 吐魯番地區와 서쪽 기타 위구르족 중심 지역들의 중간에 한족 지역인 巴音郭楞蒙古自治州가 위치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巴音郭楞蒙古自治州의 민족 구성은 위구르족 34.9%, 한족 54.5%로 기타 북강의 한족 중심 지역보다는 한족이 적은 편이다.5) 이는 이 지역이 원래는 위구르족 중심 지역이었는데, 한족이 지속적으로 유입해 들어와서 한족 중심 지역으로 되어가고 있음을 나타낸다. 남강지역에 유입되는 인구의 30%가 巴音郭楞蒙古自治州로 유입되고 있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해준다.6)(任强?原新?馬紅梅, 1998, p.32) 그리하여 부유한 위구르족 지역인 吐魯番地區와 위구르족의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인 喀什地區와의 연계가 한족지역화 되어 가고 있는 巴音郭楞蒙古自治州에 의해 효과적으로 차단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중국학자들은 吐魯番地區를 남강이 아닌 동강으로 재분류함으로써 그 차단 작업을 언어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어쩌면 중국 정부가 吐魯番地區의 경제력이 위구르족의 독립을 위해 정치적으로 사용될 것을 염려한 나머지, 의도적으로 巴音郭楞蒙古自治州에 한족을 유입시켜서-타림분지의 유전개발이라는 경제적 initiative를 사용하여 유입을 유도- “위험한” 지역인 喀什地區와의 연계를 사전에 방지하려고 했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吐魯番地區가 왜 높은 2차산업율과 연평균 수입을 보이는지, 그리고 吐魯番地區의 부가 위구르족에게도 나누어지고 있는지, 아니면 모든 경제적 이익을 22%의 한족이 독점한 가운데 71%의 위구르족은 그들을 위해 노동력만 제공하고 있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더욱 상세한 고찰이 필요하다. 단순한 통계상의 숫자로는 부의 실질적인 분배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예외적인 지역인 巴音郭楞蒙古自治州와 吐魯番地區를 제외하면, 신강의 지역적 특성은 “북강-한족-공업-부유/ 남강-위구르족-농업-빈곤”의 구도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10.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위구르족은 대부분 남강에 거주하면서 곡물(밀, 옥수수, 쌀) 및 면화 재배 등의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일부 양잠업, 수공업, 소규모 상업 등을 겸하기도 한다. 특히 호탄, 야르칸드(沙車) 같은 곳에서는 양잠산업이 활발하다. 명목적으로는 가구생산책임제가 시행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인민공사 형태의 집단농장 내에서 공동으로 농사를 지어서 일정부분의 할당량을 국가에 납부하는 모택동 시기의 방식이 아직까지 유지되고 있다. 농사로는 곡물과 면화에 대한 국가 할당량을 채우고 나면 가족이 생계를 유지하기에도 빠듯해서 실질적으로 수익이 되지는 않기 때문에 가축사육이나 수공예품 제조 등의 부업에 의존한다. 특히 여성들의 돕바7) 제조 및 판매로 인한 수입은 가구의 실질적 수입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돕바제조는 가내 수공업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제조 과정이 분업으로 이루어지며 한 사람의 여성이 전 과정을 책임지고 연결시키고 조정한다. 대개 이러한 여성들은 남편이 부유한 상인이거나 지방간부 정도가 되어 남편의 지위에서 나오는 “문화자본”을 소유한 사람들이다. 위구르 농민들은 잉여자금이 생기면, 은행에 저축하는 대신에 집을 새로 짓거나 양을 구입하는데 투자한다. 비록 일부 상류층은 은행을 이용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중?하류 농민들은 양을 산다. 그들은 “이 양들이 우리 은행이죠”-양들은 갑작스런 질병이나 죽음같은 긴급상황에서 현금화가 빠르기 때문에 유용하다-라고 말하곤 하는 것이다. 양 외에도 상류층은 트랙터를 구입할 때 중?하류 위구르 농민들은 견인용 동물이나 마차를 산다. 이들은 또한 자금이 필요할 때, 공식적 채널인 은행 대신에 친척이나 계모임 등의 비공식적 채널을 이용한다. 은행을 이용하지 않는 것은 이자가 부담이 될 뿐 아니라, 지방간부의 추천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문맹?반문맹인 농민들에게는 불편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추천장은 재정상태가 양호한 사람에게만 주어지므로 실질적으로 돈이 필요한 중?하류 농민들에게는 혜택이 돌아가지 않는다. 이러한 과정에서 위구르인 지방간부는 위구르 농민들의 의지의 대상이 되기도 하지만 불평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개혁시기에 시장이라는 공식적 공간이 도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위구르 농민들은 그들의 경제생활을 위하여 여전히 비공식적인 전통적 사회관계들에 의존한다. 가족끼리 또는 친족끼리 원료를 떼어 오고 제조하고 판매하는 과정을 나누어 맡거나, 전통적인 지역 친교 모임에 경제적 성격을 부가하여 서로 필요한 자금을 만들어 주기도 한다. 이 대표적인 예가 남자들로만 구성되는 모임인 “marshap"이다. “marshap"은 개혁시기 이후에 부활된 전통적인 남성 여가 모임으로서, 전통적인 친교적 기능에 개혁이후 경제적 기능이 더해진 형태로 부활되었다. 한 마을의 남성들이 일주일에 한 번이나 두 주일에 한 번씩 모여서 먹고 이야기하고 노래하면서 마을의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기도 한다. 그리고 그 날 손님을 치룬 집에 한 사람 당 얼마씩의 돈을 모아 제공한다. 비록 경제적 기능이 추가되기는 했지만 “marshap"은 여전히 민족적?종교적 정체성을 확인하고 사회적 관계들을 유지하며, 전통을 보존하고 젊은이들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중앙아시아 국가들 내에 위구르 망명자들 사이에서는 이 모임이 젊은이들을 위구르 독립투쟁을 위해 정치적으로 동원하고 교육시키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사실로부터, 신강에서도 이 모임이 정치적으로 기능할 수도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Beller-Hann, I., 1998, pp.701-710) 1980년대의 개혁은 신강의 위구르 농민들 사이에 새로운 계층 불평등을 만들어내었다. 어떤 “marshap" 모임에서는 회원들간의 경제적 격차가 너무 벌어져서 적당한 차출액수를 정할 수 없게 되자 아예 그 모임의 경제적 기능을 제거해버리기도 했다. 이러한 계층 차이는 옷차림과 집에서 분명히 드러난다. 위구르 사람들 중에서도 더 이상 전통적 옷차림을 고수하지 않고 양장을 하는 사람들이 심심치않게 보인다. 이들은 스카프나 돕바도 잘 쓰지 않는다. 특히 도시에서 이러한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현단위 이하 지역의 위구르 전통 가정에는 아직도 가부장적인 대가족제도, 남존여비의식, 철저한 이슬람적 생활이 배어있다.
11. ‘신강붐’과 위구르족 90년대의 ‘신강붐’은 정부의 신강개발 및 발전자금 지원 정책에 의해 조성되었다. 그런데 향진기업발전자금 지원 등과 같은 정부 정책이 초점을 맞추고 있는 부분을 살펴보는 것은 신강에서의 민족문제-한족?위구르족-를 들여다보는 하나의 창이 된다. 중국 건설은행은 9?5계획기간(1996-2000) 중 총 20.1억元을 지원할 계획이며 국가개발은행도 13억元의 투자자금 지원을 결정했다. 그런데 이러한 개발금융기관들의 자금지원은 중앙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하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향후 2000년까지 신강의 주요 개발 프로젝트인 남강철로 확장과 타림 석유화학기지 건설사업 등에 약 1천억元의 자금이 소요될 예정이다. 신강정부는 특히 남강선 확장 공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이는 타림분지에 매장되어 있는 대량의 석유시추 및 이의 원활한 수송을 기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連雲港-蘭州-烏魯木齊에 이르는 중국의 동서내륙횡단철로 주변에 농산물가공, 경공업, 자원개발 업종에 관한 합자와 합작 투자를 유치한다는 “沿線計劃”에는 남강지역에 대한 고려를 찾아볼 수 없으며, “변경경제합작구”로 지정된 伊寧市, 塔城市, 博樂市도 모두 북강의 서쪽지역으로서 같은 변경지역인 남강의 키르키즈자치주 같은 곳은 신강에서도 매우 빈곤한 지역 가운데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경제합작구로 지정받지 못했다. 결국 중국정부가 주도하는 개발계획의 실질적 대상은 소수민족인 위구르족이 아니라 신강 내의 한족임을 알 수 있다. 즉 중국정부는 신강위구르자치구라는 ‘소수민족’ 지역에 투자한다는 명목 하에 실질적으로는 신강내의 한족사회, 즉 북강에 대한 경제적 지원을 공고히 하는 한편, 남강에 대해서는 지역 자체의 발전보다는 북강 발전의 배후지로서-철도확장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자원과 노동력을 이용하기만 하려는 속셈인 것이다. 이처럼 신강의 위구르족은 ‘신강붐’으로부터 소외되고 있다. 중국정부는 위구르족의 생활고 종교는 인정하면서 교묘한 억압과 비투자로 개발을 억제시키고 있다. 위구르족의 경제개발 대해 중국정부는 위구르족의 경제적 불만으로 인한 지역 분리 움직임을 무마시킬 수 있을 정도만 개발시키면서 회유책을 쓰는 한편, 결코 독립을 위한 경제적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정도로는 개발시키지 않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여기에는 쿠쳐(庫車)나 야르칸드(沙車)의 인구가 각기 35만명(이 중 90%인 32만명이 위구르족), 56만명(이 중 95%인 53만명이 위구르족)이 넘음에도 불구하고 市로 승격시키지 않고 계속 縣으로 남겨두는 정책도 일조를 하고 있다. 이는 기타 한족 중심 지구의 도시들이 대부분 인구 20만-30만 정도라는 사실과 좋은 대비를 이룬다. 물론 신강의 개발 과정에서 소수의 위구르인들이 부를 축적하여 상류층으로 진입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위구르 농민들은 개발에서 소외된 채 “가난한 농민”으로 남아 있다.
Ⅲ. 교육 상황
소학교, 초중, 고중 합해서 12년이며, 85년부터 9년 제 의무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대학은 종합대학이며, 학원은 단과대학으로 보통 4년제 이나, 소수민족 학생들은 1학년때 1년간 한어(중국어)를 학습하고 진학을 하므로 총 5년의 기간이 소요된다. 한족 학교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때부터 한어를 배우고 소수민족 학교에서는 3학년 때부터 자신의 모어를 통해 한어를 배운다. 보통 대학 진학률은 2%이다.
Ⅳ. 사회구조 및 풍습
1. 사회구조 도시는 상당히 개방되어 서구화 되고있고 자율적인 생활풍조가 팽배해 있지만 지방의 경우는 위구르 전통가정에는 아직 가부장적인 대가족제도, 남존여비의식, 철저한 이슬람 생활이 배어있다. 위구르는 오랜 세월 중국과 소련의 공산주의 영향을 받아 왔지만 무슬림의 정체성을 잃지 않고 문화적인 전통을 강하게 유지해 왔다. 예로 할례의식, 결혼식, 장례식, 공휴일 등의 전통적인 종교 의식과 축제 외에도 위구르 문학, 음악, 춤 등의 전통이 아주 잘 보존되고 있다. 비록 북쪽 지역의 위구르인들이 이름만 무슬림 이고 라마단 금식을 잘 지키지는 않지만 남쪽 지역에서는 여전히 강한 이슬람 전통을 유지하여 이러한 문화 전통이 이들을 강하게 하나로 뭉치는 역할을 하고 있다.
2. 문화 및 풍습 다양한 정치적, 종교적 또한 인종 분쟁이 위구르의 역사를 특징짓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여전히 "자부심이 강하고, 행복하며, 독립적인 사람들"로 묘사된다. 그들은 자신들만의 문화적 고상함을 갖춘 독특한 혼합문화를 소유하고 있다. 아직도 고립된 지역이 있어서 시골의 단일한 문화가 남아 있기는 하지만, 이들은 성공적으로 다른 문화를 많이 받아들였다. 이러한 단순함과 세련됨의 흔치 않은 조화는 위구르 문화의 독특하고도 분명한 매력을 이룬다. 위구르족은 ‘노래(歌)’와 ‘춤(舞)’에 능하며, 아름다운 목소리로 노래하고 능숙한 솜씨로 춤을 출 줄 안다. 그중 에서도 ‘Sainaim'춤이 가장 대중적이며 춤은 가볍고 우아하며 빠른 회전과 변화무쌍한 동작으로 유명하다. 노래와 춤은 위구르에서 중요한 사회활동 중의 하나이다. 이들은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 등을 사용한다. 무캄(Mukam, "12개의 위대한 선율")은 몇세기에 결쳐 이들 위구르 문화의 일부분이 되어왔다.
1) 의복(衣) 도시의 여자들은 주로 양장 상의와 치마를 입는 반면, 농촌의 여자들은 넒은 소매가 린 원피스에 검은 조끼를 받쳐입는다. 남자는 콧수염과 턱수염을 기르고 긴외투를 입으나 도시의 남자들은 면도를 하고 양장을 입는 경우가 많다. 그들은 남녀노소 할 것 없이 꽃무 늬가 그려진 작은 사각모를 즐겨 쓰며 여성은 귀걸이, 팔지, 목걸이 등을 즐겨 쓴다.
2) 음식(食) 전통적으로 위구르인들은 양을 치거나 오아시스에서 농사를 짓는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많은 사람들이 제조업, 광업, 기름 굴착업, 무역업, 운송업 등의 사업을 한다. 누구라도 이들의 식생활이 과거 시골 생활의 영향을 받은 것임을 쉽게 알 수 있다. 이들은 매끼 육식을 하고, 매일 낙농품을 먹는다. 우유와 함께 차를 마시기를 좋아하고, 이들은 주식으로 옥수수나 밀가루로 구운 빵이나 국수도 먹는다. 주식은 ‘낭(빵 : 역사가 6000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무교병과 같음) 과 ’양고기‘를 차고 다니는 칼로 썰어서 물이나 국물에 찍어먹는다. 식사시 무릎을 꿇고 먹으며 식사 후 손을 들고 기도한다. 돼지고기를 먹지 않으며, 외부에서는 반드시 ‘靑眞(칭쩐)’이라 써놓은 식당에만 들어간다. 라마단 기간에는 식당 문을 닫으므로 저녁에 야시장이 열린다. 면류 로는 拌麵(빤미옌), 拉麵(라미옌), ?麵(챠오미옌), 湯飯(탕판) 등이 있고 쌀류로는 ?飯(챠오판: 쌀에 양고기기름을 넣고 건포도, 땅콩, 양고기, 고구마 등을 넣어 볶아 만든 밥으로 보통 다섯 손가락을 이용해 먹는다.) 기타 땅콩, 호도, 건포도, 사과, 배, 무화과 등을 먹는다.
3) 주택(住) 가옥은 일반적으로 진흙으로 건축되어 있으며 사각형 모양에 지붕은 낮고 평평한데 보통 식량이나 과실 류를 건조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천장에 채광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창문을 내고, 실내에는 벽난로가 없어 겨울에는 온돌을 데워 사용한다. 침대틀은 바닥쪽 낮게 벽돌로 만들어져 있어서 따뜻하게 데울 수 있으며, 잠을 잘 뿐 아니라 앉을 때에도 사용한다. 흔히 벽에 거는 카펫으로 집을 장식하곤 한다.
4) 결혼 일반적으로 청춘남녀의 혼인은 자유로우며 혼례는 성대하면서도 축제와 같은 분위기로 거행된다.
5) 장례 토장을 하며 임종 후에는 시신을 정결하게 닦은 후 하얀 천으로 잘 감싸서 목관에 넣어 묘지에 안장시킨다.
Ⅴ.주요 도시
1. 우루무치 아름다운 목장이란 뜻의 우루무치는 천산북로에서 가장 큰 도시이며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수도(州都)로, 천산산맥의 북쪽 기슭과 준가르 분지의 끝에 자리잡고 있다. 인구는 약 140만 명으로 그 중 한족이 73%, 위구르족이 12%이다. 해발 고도는 900m이고, 봄, 가을이 짧으며 추운 겨울, 더운 여름이 길고, 강수량은 연 200mm로 비가 적다. 주요 명소로는 시내 중심에 농작물, 식품, 향료, 주단 등을 파는 바자르(노천시장)가 있고, 2천여점의 문서, 직물, 석기 등 실크로드와 관련된 출토품을 소장한 박물관이 있다. 시내에는 이슬람 사원이 많이 있으며, 도시 주변에는 사막처럼 황량한 산들이 두르고 있다. 시내에서 동북쪽으로 115Km 떨어진 곳에 있는 천지는 천산의 눈이 녹아 내린 물이 고여 이룬 호수로 경치가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한.당대까지만 해도 우루무치는 서역의 중심도시가 될 정도는 아니었다. 18세기 청나라 때 적화(迪化)라는 성을 쌓으면서 비로소 도시의 모습을 갖추고 19세기초 남강과 북강을 연결하는 지리적 중요성을 인식하여 중앙 정부는 이곳에 신장성을 설치하였다. 목축이 주산업을 이루던 사회에서 벗어나며 지하자원을 개발해 급속히 산업화가 진전되고 있는 우루무치는 신장의 정치, 경제, 문화 및 교통(항공, 철도)의 요지로 예수님이 없는 상태에서 빠른 개발과 물질문화가 급속히 퍼짐으로 빈부의 격차가 심화될 뿐만 아니라 영적 피폐함이 심각하다. 공식적인 삼자 교회에 한족만 3천명이 모여 예배 드리고 있으나 위구르족은 예배드리는 곳이 없다. 많은 선교사들이 학생 신분으로 캠퍼스 사역을 주로 하고 있으며, 현재 꽃과 복음 프로젝트를 위한 판매 지사가 있다. 우루무치는 베이징에서 서쪽으로 약 4천km 떨어져 있으나 베이징의 표준시간이 그대로 적용되고 있다. 중국은 넓은 대륙이면서 하나의 표준시이므로 우무루치에선 아침 9시에 겨우 동이 트고, 반대로 밤 9시인데도 해를 볼 수 있다. 사실 베이징과는 4시간 정도의 시차가 있어야 하는 곳이다. 그래서 한여름에도 학교나 관공서의 사무시간은 아침 10시 반에서 8시까지라고 한다.
2. 허티엔 남쪽으로는 쿤룬산맥이 있고 북쪽으로는 타클라마칸 사막에 인접해 있어서 연 강수량이 30mm정도로 매우 건조한 지역이다. 우루무치에서 1,570Km떨어져 있고 인구는 20만이며 한족이 14%, 위구르족 85%이다. 해발 1400m로 대륙성 온대 건조 황모 기후로 여름철에는 덥고 겨울에도 춥지 않다. 이 지역은 농업을 위주로 하며 밀, 면화 재배 및 농업과 목축업이 결합되어 있고, 호도가 특산품이기도 하다. 고대 실크로드의 천산 남로에서 주요한 도시였던 허티엔은 옥과 비단의 고장으로 알려졌다. 곤륜산맥에서 흘러 내려오는 물은 허티엔시의 동쪽 외곽으로는 백옥강이 되고, 서쪽 외곽으로는 흑옥강이 되어 흐르고 있다. 허티엔의 옥은 품질이 우수하기로 유명하며 1992년 북경인민대회당에 대형 옥 조각품을 만들어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하기도 했다. 두꺼운 양털을 사용해 만드는 허티엔 카펫트 또한 유명하다. 허티엔에는 기원 전후에 불교가 전래된 이후 1000년 이상 불교의 영이 지배하고 있고, 10세기말에 서쪽에서 동진해 온 이슬람교가 40년간의 지하드를 수행한 끝에 1006년에 허티엔의 불교 왕권을 무너뜨렸다. 잔존불교 세력이 완전히 사라진 11세기 중엽부터 지금까지 이슬람의 영이 지배해 오고 있고, 선교사역이 시작된지 7년 정도 된다. 허티엔은 정치적으로 불안한 가운데, 최근 분리 독립 운동을 하던 위구르족 청년들이 검거되는 등 험악한 분위기가 감돌고 있다.
3. 카쉬 우루무치로부터 남서쪽 천산남로를 따라 약 1,500Km 정도 떨어져 있는 오아시스로 타직스탄에 인접해 있다. 카쉬는 Kashgar라는 위구르어를 줄여 부르는 말인데 ‘여러 색깔의 집’이라는 뜻이다. 중국의 실크로드 가장 서쪽에 위치하여 2천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총인구는 25만명으로 위구르족 75%이고, 한족 25%이다. “카쉬에 가보지 않고서는 신장에 가 봤다고 할 수 없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신장의 특색과 위구르인들의 민족적 특성을 가장 잘 드러내며 신장성의 축소판이다. 생활수준은 한국의 70년대와 비슷하며 빠른 속도로 현대화 되어가고 있다. 역사적으로 10세기초 이슬람교로 개종하면서 신장지역의 이슬람교 전진기지와 같은 곳이 되었다. 중국에서는 가장 큰 이슬람 사원인 에이티가르 사원이 있고, 일요 바자르(시장)는 BC 2세기 때부터 유명하여 많은 사람이 모인다. 카쉬는 위구르족의 ‘마음의 고향‘이라고 일컬어진다. 이외에도 청나라와의 역사를 담고 있는 향비묘(香妃墓) 등의 유적이 유명하다. 1949년 알프테킨의 동투르키스탄 공화국 수립 시도의 중심지가 되기도 했고, 1998년에는 신장 분리주의자들에 의한 무장 경찰관 8명 살해 사건으로 카쉬와 인근 지역에 계엄이 선포되기도 하였다. 카쉬는 남신장을 복음화하기 위한 중요한 거점이며, 네스토리안에 의해 11,12세기에는 카쉬가르 대교구가 세워질 정도로 기독교가 왕성하였던 곳이다. 약 100년 전 스웨덴 선교사들에 의하여 위구르 선교가 다시 시작되었으나 공산화 이후 사역자와 신자들이 추방이나 죽임을 당하였다. 현재 사역자들은 학생의 신분으로 밖에 거주할 수 없지만 사역의 가능성은 무한하다.
4. 투루판 천산의 남쪽 산록에 위치한 투루판은 우루무치와 184Km의 거리에 있으며, 타클라마칸 사막 분지 가운데에 위치한 작은 분지이다. 인구 20만 중 위구르족이 71%, 한족이 21%이다. 이 지역은 사면이 산으로 둘러 쌓여 있으며 수원은 뻐거다산과 카라우청산에 의존한다. 여름에 만년설이 녹아 흘러내리는 것이 강과 지하수의 주요 원천이 된다. 투루판은 위구르어로 ‘낮은 땅’이라는 말로, 시가지는 해발 18m-106m이고 제일 낮은 지역인 아이딩호의 수면은 해발 아래 154m이다. 이러한 지형의 영향으로 중국에서 가장 더운 지역이기도 하다. 분지 중심의 절대 최고 온도는 47℃이상, 35℃이상일 때가 100일 이상이고, 아주 더운 여름에는 40℃이상일 때가 35-40일, 여름 지표면 온도는 70℃에 이를 정도로 대단히 기온이 높은 지역이다. 특수한 지형과 기후조건으로 큰 바람이 많이 일어나기도 하고 포도와 하미과(메론의 일종)가 유명하다. 이천년전 한 무제가 고창군(高昌君)을 설치하며 알려지기 시작해서 고창, 화주, 서주로 불리우며 당나라 때까지 번창했다. 그러나 10세기 후로는 위구르족의 중심지가 되었고 15세기경 이슬람을 받아들였으며 1912년 투루판이라 개명되었다. 투루판은 혹독한 자연환경을 극복하고 많은 문화 유산을 남겼으며 돈황과 더불어 서역의 중심도시 역할을 했다. 명승고적으로는 “손오공”에 나오는 곳으로 강렬한 태양빛으로 인해 적색의 기암이 빛을 발하여 마치 불같은 열기가 상승해서 구름과 맞닿아, 불타오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는 화염산이 있다. 고창고성(高昌故城), 교하고성, 버즈커리커 천불동(버즈커리커는 ‘아름답게 장식된 집’이라는 위구르어, 54개의 석굴이 발굴되었고 화려한 벽화와 조각돌 장식이 유명하다)을 비롯한 불교 유적지가 많고, 소공탑, 카르징(지하수로), 포도계곡 등이 유명하다.
5. 이닝 이리지구는 신장자치구 가운데 매우 풍요로운 지역으로 북, 남, 동쪽이 천산 산맥에 둘러 쌓여 있어서 사막에서 불어닥치는 건조한 공기를 차단하고 있다. 기후가 온난하여 중원에서 지배되는 야채나 과일은 거의 이 지방에서도 생산된다. 분지의 중앙을 흐르는 이리(Ili)강의 관개에 의해 농업이 점차 발달하고 있다. 천산 북로의 중심지인 이리지구의 중심 도시는 초원의 도시 이닝시로, 우루무치에서 북서쪽으로 702Km의 거리에 있으며 카자흐스탄과 국경이 접해 있다. 인구는 30만명으로 위구르족이 52%, 한족32%이다. 해발 800m이고, 신장에서 강수량이 가장 많은 지역의 하나로 연 강수량은 200-800mm이다. 명승지로는 과일 계곡, 징기스칸의 7대손인 투허이루 티에무알 칸의 무덤, 성요우 라마 사원, 금정사폐허 등이 유명하다. 이 지역의 종교는 이슬람교 외에도 불교, 라마교, 희랍 정교로 다양하다. 이곳은 러시아와의 국경 분쟁이 계속되어 왔던 곳으로 1871년에는 러시아가 군대를 파견하여 이닝시를 점령한 이리 사건이 있었고, 1910년에는 위구르 회교도들이 동투르키스탄 공화국을 짧은 기간이나마 이루었던 곳이다. 러시아는 이 때에도 동 투르키스탄 공화국을 지원하며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이 외에도 이닝은 중국인들이 증가하는 것을 거부하는 위구르인들에 의한 반란이 수 차례 있었고, 최근 몇 년 사이에는 분리독립 운동에 의한 대규모의 유혈사태가 있었으며, 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었다.
6. 악수 신장의 서쪽 천산 산맥의 남쪽 발치에 위치해 있으며 우르무치로부터 1,080Km 떨어져 있고 서북쪽으로는 키르키즈스탄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악수는 돌궐어로 ‘흰색 물’이라는 뜻이다. 인구는 40여만명으로 한족 55%, 위구르족 44%이다. 난온대건조형 기후로 대륙성 기후의 특징이 있고, 최고온 41.9℃, 최저온 -32℃이다. 천산산맥의 만년설이 주요하천의 발원지이고 석유와 석탄이 풍부하다. 주요 명소로 길이가 2,179Km인 타림 강은 중국에서 가장 긴 내륙강이다. 해발 7,435m인 티무르봉이 있고 키질석굴이 유명하다. 98년 여름 단기 전도팀이 전단지 배포로 경찰에 연행, 조사될 정도로 어둠의 세력이 강하며 눌림이 많다.
7. 하미 신장의 동쪽관문으로 우루무치에서 595Km떨어져 있다. 인구 31만중 한족이 67%, 위구르족이 25%이다. 연 평균 강수량은 33.8mm로 건조하며 비가 적다. 란저우-신장간 철도가 하미지구를 관통하는 길이는 317Km로 26개의 역이 있다. 이 지구에 철강, 전력, 석탄, 시멘트, 화공, 제지, 건축과 관련이 있는 공업기업이 289개가 있다. 하미는 하미과(메론의 일종)의 고향이다. 이슬람은 15세기경 유입되었으며 당나라 때 아랍선교사 까이스의 묘가 있다. 98년 8월에는한국 선교사 3명이 전도하던 중 다량의 전단지가 발각되어 끝내는 추방되는 일이 있기도 하였다.
8. 크라마이 크라마이는 위구르어로 검은 기름(黑油)이라는 뜻으로, 석유공업을 주체산업으로 하는 공업도시이다. 1909년에 매우 적은 양을 시추했으며, 1955년부터 정부에서는 이곳에서 대규모 원유 시굴을 진행했고, 매장량도 풍부할 뿐만 아니라 질도 우수하다. 1958년도에 국무원의 비준을 얻어 크라마이가 정식으로 시로 승격되었으며, 30년 동안의 건설을 통해 현재 크라마이는 현대화 석유연합기업과 신형 석유공업도시로 발전해 오고 있다. 시내에서 동쪽에 위치한 허요우산(黑油山) 공원이 유명하다.
Ⅵ.역사
신장위루르자치구는 현재 중국의 한 행정단위로 되어 있지만, 그 명칭에 포함된 ‘신?강(新疆)’, 즉 ‘새로운 강역’이라는 뜻의 지명은 이 지역이 역사적으로 어느 시기에 중국에 새롭게 포함되었음을 알게 해 준다. 신장이 속해 있는 중앙아시아 지역은 6세기경 투르크어 계통의 언어를 사용하는 유목민 등이 발호(跋扈)하기 전까지는 원래 페르시아 인들이 거주했던 곳이다. 우리는 크게 여섯 과정으로 위구르의 역사를 정리해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위구르에 여러 가지 종교들이 들어왔음을 볼 수 있다.
1) 위구르 부족국가와 샤머니즘 위구르는 흉노족의 먼 후예이고 직접적인 조상은 퇼뢰스부족 연맹에 속하던 DFLEO 부족이며 이들은 중국 조정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돌궐과는 불편한 관계에 있었다. 퇼뢰스 부족연맹이 7세기초에 와해되면서 위구르족은 지금의 몽골지역에서 독자적인 왕국을 건설하였고, 당시 중국의 조정인 당나라는 이미 629년에 위구르의 독립을 인정하였다. 당시 돌궐의 내분이 일어나는 것을 틈타서 641년경에는 동부 스텝지대의 상당한 부분을 지배하고, 소위 구성(九姓, 9개 씨족으로 이루어진 연맹)이라 불리 우는 토쿠즈-오구즈(Toqus-Oghuz)연맹을 새로이 결성하여 종주가 되었다. 8세기초에 이 연맹은 다시 돌궐의 지배하에 들게 되었지만 와해되지는 않았고 중국과 우호관계를 가지면서 실크로드를 장악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였다.
2) 오르혼 위구르제국(745-840)과 마니교 위구르족은 돌궐제국의 빌게카간이 사망한 후 바스밀, 카를룩의 두 돌궐부족과 연맹을 결성하여 돌궐제국을 분쇄시키고, 몽골리아 외트켄(오르혼강 유역)을 중심으로 오흐혼(Orkhon)위구르 국가를 건설하였다. 이 국가는 토쿠즈-오구즈(九姓)연맹을 통합한 국가이기에 온위구르(On Uhgur, 10 Uygur)라고 불리웠다. 친 중국계의 위구르가 세력을 장악하자 민족의식과 정통이 강한 돌궐계 부족 연합체들은 각각 집단을 구성하여 서부 스텝과 러시아의 스텝지대를 지배하였고, 위구르만 중앙아시아의 중심 지역에 남아 거의 1세기동안 중남부 스텝지대를 지배하였다. 골력배라(骨力裵羅)시대에 위구르국은 세력이 크게 팽창하였고, 그는 ‘쿠틀룩 빌게 퀼 카간’이라는 황제 칭호를 사용하였다. 골력배라 통치 이후부터 위구르는 중국의 황제들이 사용한 왕호를 사용하면서 중국과 대등한 제국으로 행세하였고, 당나라의 안사의 난 때에는 반란을 평정하기 위해 중국 수도까지 지원군을 동원하기도 하였다. 이후 위구르제국은 중국 내정에 간섭할 정도까지 국력이 팽창하였다. 750년 당나라와 아랍 압바스 이슬람 왕조 사이에서 발발한 전쟁인 탈라스 국제전8)에서 당나라와 연합했던 위구르제국은 아랍군이 승리하자 파미르고원 서쪽에 대한 그 영향력을 상실하게 되었다. 762년 위구르 카간 뵈귀는 소그드인들이 전해준 마니교를 국교로 받아들였고 이는 유목민족 최초로 정착민의 종교를 갖게 된 것으로 위구르인들의 정착화를 가속시켰다. 위구르인들은 산악지대로부터 정착을 위해 스텝의 평야지대로 이동하였고, 중앙아시아 유목민족으로서는 최초로 성곽도시를 건설하였다. 마니교는 위구르족의 정착화?도시화를 촉진했고 문자도 제공하였으며 스텝민족사상 최초로 문학을 발전시키게 되었다. 위구르는840년 알타이 산맥북부 스텝에 할거하던 전통적 유목민족이었던 키르키즈족에 위해 멸망당했다.
3) 분산과 위구르왕국들(840-1028/1209) 패망한 위구르족은 유목민족으로 되돌아가지도 않았고 키르키즈에 흡수되지도 않았다. 위구르족의 오르혼 제국은 다양한 씨족 연맹이 분열되어 세 개의 왕국을 구성하였는데, 감주국(甘州國), 사주국(沙州國), 과주국(瓜州國)이다. 감주국(칸수위구르) 은 10세기 초 중앙아시아의 주요 교역로상에 근거지를 잡고 교역 활동을 완전히 장악하였다. 세력이 점점 서쪽으로 확장되면서 먼저 이슬람화된 카라한 왕조9)와 접하면서 위구르인들은 이슬람교를 접하게 되었다. 10세기말부터 교역권을 노리는 탕구트 부족의 침략이 계속되어 1028년에 탕구트 지배에 놓였고, 1226년에 몽골의 정복으로 몽골제국에 편입되었다. 사주국(돈황 위구르)는 오늘날의 서위구르 지역에 돈황에 위치하며 911년까지 중국의 지배하에 있었다. 1006년 사주국의 종주권은 거란이 갖게 되었고, 1036년에는 투르판 위구르 왕국을 제외한 모든 위구르족의 할거지를 탕구트가 지배하게 되었으며, 12세기 이후 몽골의 정복이 있을 때까지 계속되었다. 과주국(투르판 위구르)은 840년 오르콘 위구르 제국이 멸망하자 내륙 아시아를 이주해 간 위구르족이 건설한 오아시스국가로 856년 멩리(Mengli)통치시대에 왕국으로 발전되었지만 바르추크 테킨 이디쿠트와의 통치시기에 거란족에 예속되었고, 13세기초에는 징기스칸의 몽골 제국에 예속되었다가 몽골 제국이 분할되었을 때 카가타이 칸 국에 구획되어 독립을 완전히 상실하게 되었다. 이시기 타림분지 지역에는 불교가 성행하였는데 이 지역에 이슬람교가 전파되려고 하자 불교세력과 마찰과 투쟁이 시작되었다. 11세기초 이슬람의 자하드정신은 불교와의 세력 다툼에서 우세를 보였고, 신강위구르 전체가 무슬림으로 되었다.
4) 몽골족의 지배와 이슬람 ① 차카타이 칸국(1225-1514) 1225년 징기스칸(成吉思汗, 1155? -1227)은 말년에 자신이 정복한 지역을 4아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이때 2째인 察合台는 중앙아시아 지역을 분배받았다. 그가 분배받은 지역은 서쪽으로 阿姆河, 동쪽으로 伊犁河유역, 북쪽으로 바이칼호 그리고 남쪽으로는 쿤룬산맥에 까지 이르렀다. 이후 察合台의 이름을 따라 察合台汗國으로 부르게 되었다. 察合台汗國의 기본노선은 도시화나 정착화가 아니어서 도시의 존재가 무용하다고 생각하여 일정한 수도가 없었다. 그러나 주요한 집합 중심지는 伊犁河 부근의 알말릭(伊犁부근의 Quecheng)이었다. 察合台汗國은 察合台가 1242년 사망한 후 몽골제국의 주역을 담당하지 못했으며, 중국(元朝)의 大汗으로부터 자치권을 획득한 것은 오직 10대왕 두아(1282-1307)때 뿐이었다. 두아는 察合台汗國의 재건을 위해 일칸조의 가잔의 개혁에 본받아 개혁을 단행하였으나 그가 의도한 대로 모든 개혁을 완성하지 못하고 죽게되었다. 그의 노력은 그의 후계자들 특히 14대왕 케벡(1318-1326)에 의해 계속 추진되었다. 케벡은 察合台汗國 역사상 처음으로 유목생활보다 정착 도시생활을 좋아하여 사마르칸트와 부하라등의 도시를 재건하였다. 그러나, 유목생활과 전통을 고수하는 일부 몽고인들에 의해 배척을 받게되었다. 케벡을 반대하는 몽고인들은 케벡의 형인 에센부카를 카칸으로 추대하였다. 그래서 케벡은 중아아시아河 지역으로 이동하여 서察合台汗國 즉, 중앙아시아河 중부지역과 아프가니스탄의 북부지역을 통치하게 되었다. 한편 에센부카는 동察合台汗國 - 신장지역과 중아아시아 七河 유역 - 을 통치하게 되었다. 1320년 동察合台汗國의 에센부카가 사망한 후 그에게는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10여년이 넘게 카칸의 자리는 공백상태로 남게되었다. 이 시기ㄸ 몽고의 제부락은 카칸의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쟁투를 벌여 마침내 부라지터(布拉吉特)부락이 승리를 하고 伊犁에서 당시 16세의 투헤이루티에무얼을 그들의 본거지인 阿圖什에 데리고와 에센부카의 아들로 공포하고 1346년 그를 카칸으로 세웠다. 그당시 察合台汗國에서 이슬람교는 가장 큰 종교세력으로 무슬림들이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투헤이루티에무얼은 察合台汗國의 통일과 중앙아시아지역의 통치권을 회복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무슬림들의 지지를 얻어야 한다. 그래서 그는 1352년 阿圖什에서 당시 중앙아시아에서 수피파의 저명한 傳敎士인 어시딩허띠아오(額西丁和卓)의 인도하에 이슬람교에 입교하는 의식을 거행하여, 정식으로 이슬람교를 받아들이게 되었다. 이로써 그는 신장을 통치한 몽고의 카칸 중 처음으로 이슬람교를 받아들인 사람이 되었다. 그후 그는 샤머니즘을 숭배하는 몽고 대신들로 하여금 이슬람교를 받아들이도록 강요하였다. 또한, 각 지역에 傳敎士들을 파견하여 몽고인들로 하여금 이슬람교를 믿도록 강요하였다. 이때 16만의 몽고인들이 무슬림이 되었다. 1360년 그는 察合台汗國의 통일을 위한 군사행동을 개시하여 1361년 서察合台汗國의 도성인 사마마르칸트를 점령하여 察合台汗國의 통일을 이룩하였다. 1363년 그는 병으로 죽어 알말릭에 매장되었다. 그는 察合台汗國을 통일하고 견고한 세력을 구축하기도 전에 죽게되어, 1370년 티무르제국에 의해 사마르칸트를 빼앗기고 통일된 察合台汗國은 다시 분열되었다.
15세기초, 天山남서부 지구에 사는 畏兀爾인들은 이미 이슬람교를 신봉하고 있었다. 한편 吐魯番, 哈密등지에는 아직도 불교의 세력이 적지가 않았다. 15세기 후기, 吐魯番은 기본상 이슬람교를 믿게 되었다. 16세기초, 哈密지역에도 이슬람교를 받아들였다. 이로부터 전 위구르족들은 이스람교를 신봉하게 되었다.
② 야르칸드 칸국(1514-1678) ③ 서몽골의 군주 갈단 치하(1680-1750)
단순 유목국가이던 몽골이 제국체제로 전환될 때, 질적?양적으로 우세한 한족을 지배하기 위해 몽골은 위구르인들을 대거 등용하였다. 20세기초까지 위구르인들 사이에는 ‘호자’라고 불리우는 특수 집단이 있었는데, 이들은 이슬람권의 종교적 귀족으로 무함마드의 후손으로 기적을 행한다고 했다. 이들은 신비주의 교단(수니파)를 형성했고 종교적 권위를 바탕으로 세속적인 권력도 강화했다. 이들 집안에서 ‘백산당’과 ‘흑산당’이라는 두 파가 갈라져서 권력 다툼을 했는데, 백산당의 아팍 호자가 외세를 이용하여 흑산당을 물리치고자 했었기에 이것으로 인한 위구르인들의 독립이 더욱 약화되고 말았다.
5) 만주족의 지배와 이슬람 1750년 서몽골 국가를 무너뜨리고 청나라는 그 여세를 몰아 위구르인들이 살던 천산 남쪽도 자기들의 지배하에 두려고 했다. 호자들은 독자적인 정권을 세우길 희망하였고 반청 투쟁을 주도하다가 1759년 청군에 잡혀 목숨을 잃었다. 그러나 위구르인들의 저항은 계속되었고 19세기 중만 청조 자체가 혼란에 빠지면서 신강지배는 더욱 힘들어지기 시작했다. 1864년 대대적인 반란이 이어졌고 청나라는 신강을 완전히 상실하게 되었다. 각지에서는 일관성 없이 일어났으나 이들 정권에서 지도자로 추대된 사람들이 모두 종교인이었는데, 당시 위구르인들에게 종교인의 영향력이 얼마나 컸는지 알 수 있다.
6) 한족의 지배와 이슬람 1911년 신해 혁명의 발발 이후에도 신장은 청조의 관리였던 양쪙신(楊增新)과 그의 후임자였던 진쑤런(金樹仁)에 의해 통치되고 있었다. 그러나 신해혁명으로 청조가 전복된 뒤 싡장에 대한 재정의 지원은 더욱 악화되었고 신장 주민들의 생활은 더욱 궁핍해졌다. 1928년 진쑤런은 무슬림들의 메카 순례까지 금지시키는 등의 가혹한 통치를 실시했다. 1931년 무슬림들에 의한 반란이 빈발하게 되었고, 무슬림 반란 세력들은 1933년 말에서 1934년 까지 단기간동안 ‘동투르키스탄 투르크-이슬람 공화국’을 선포하였다.10)국민당의 소수민족에 대한 입장은 ‘단일한 문화적?정치적 공동체로이 통합’을 위해 한족으로의 민족 동화 정책4을 추구하였기에 무슬림 소수민족들의 저항은 더욱 거세지게 되었다. 1944년 11월 무슬림 반란 세력들은 지금의 이닝시를 수도로 하는 ‘동투르키스탄 공화국’을 세웠다. 국민당의 동투르키스탄에 대한 정책은 사실상 분열적이었으며, 한족과 무슬림을 더욱 멀어지게 하였다.
Ⅶ.정치
위구르의 정치적인 상황을 보기에 앞서 우리는 신장위구르자치구 분리독립운동의 정황을 함께 염두해 볼 필요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공산당이 통치하는 현재의 중국은 청조 때의 영토를 기초로 하고 있다. 이러한 공산주의 정권의 성공은 서구열강의 침탈과 일제 침략에 저항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민족주의에서부터 그 근원의 힘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중국은 한족 뿐만 아니라 소수민족들을 포함하고 있기에 끊임없는 소수민족과의 투쟁에서 이루어졌음을 미뤄 짐작할 수 있다. 중국 정부는 제국주의 침탈을 함께 극복하고 현재의 국가를 건설했다고 그들의 소수민족에 대한 통치를 정당화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역사 속에서 살펴보았듯이 그 과정 속에서 한족과 위구르인의 조화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1. 구소련 붕괴 후 분리주의 운동의 증대 1991년 12월 구소련 붕괴11) 후 중국으로부터 독립하기 위한 분리주의 운동이 증대되었다. 중앙아시아의 새로운 독립국가들인 카작스탄, 키르기즈스탄, 타직키스탄 등과 국경을 맞대고 있고, 튀르크계이며 이슬람이라는 민족적?종교적 동질성을 가진 신강 위구르 자치구의 이와 같은 분리주의 운동은 중국 당국이 이미 예상하고 두려워했던 일이었다. 이 지역은 이미 지난 1949년 이사 유수프 알프테킨(Isa Yusuf Alptekin)이라는 회교 지도자에 의해 카쉬가르 지역을 중심으로 한 동튀르키스탄 공화국 수립의 시도가 있었고, 1990년 4월에도 약 2천여 명의 회교도들이 알프테킨의 동튀르키스탄 회복 이념을 가지고 성전(聖戰)을 벌여 22명이 사망하는 등의 역사적 전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1992년 2월부터 활발하게 일어나기 시작한 위구르족의 독립 요구가 3월경부터 심화되자 중국 당국은 주요 도시 및 중앙아시아 국가들과의 국경지대에 군을 증강하고 삼엄한 경계를 펴는 한편, 위구르족의 이 같은 운동을 ‘외부세력과 결탁된 민족 분리주의자들의 파괴활동’이라고 규정하며 단호히 대처하고 있다. 중국은 구소련에서 분리 독립한 중앙아시아 국가들에서 강력하게 대두되고 있는 이슬람 민족주의가 거주민의 절대적 다수가 무슬림인 신강 지역에 파급되는 것을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 구소련 해체 이후 전개되는 이와 같은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중국 정부는 이 지역에 대해 1급 전시 체제령을 발포하였고 지금도 이 지역은 여전히 특별 감시 대상이 되고 있다. 12) 92년 말에는 10여개국 1천여명의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서아시아의 한 국가에서 ‘제 1회 동터키민족 대회’가 열려, 신강성에서도 많은 사람이 참석한 가운데 중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촉구하기도 했고, 93년 5월에도 카쉬가르에서 파업과 시위가 일어났다. 95년 6월에는 이리지구에서 위구르인과 카자흐인 5만명 이상이 중국으로부터의 독립과 공산당 통치의 종식을 요구하는 시위와 폭동을 벌여 88명이 사망하고 3백여명이 부상했다. 참가자들은 신강위구르자치구의 독립과 카자흐국의 창설 및 종족적으로 유사한 인근 카자흐스탄공화국으로의 편입을 요구하며 공산당과 한족을 물러가라는 구호를 외쳤으며 참가자들 중 일부는 군,경으로부터 약탈한 기관총과 수류탄 등을 휴대한 채 정부 청사들을 점거하거나 약탈하고 물자 창고들을 습격했으며 군, 경과 대치하는 과정에서 사상자가 늘어났다.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는 사태가 심각해지자, 이리지구의 중심지인 이닝시(伊寧市)와 근처 뻐러시(博樂市)에 군대를 증파하고 계엄과 통금을 실시해 가까스로 진압했다. 가장 최근에는 97년 2월에 다시 이닝에서 무고하게 감금되어 있는 동족을 석방해달라고 요구하던 위구르인들에게 군, 경이 발포해 이틀에 걸쳐 400여명이 사망하는 대량 학살 사건이 발생했다. 이 지역에 배치된 병단(兵團)의 군인들이 총동원되고, 감숙성으로부터 다시 3만여 명의 군인이 증강되었다. 사망자 중에는 아버지의 석방을 요구하던 8살의 소녀와 남편을 보러 온 임산부도 끼어 있었다고 한다. 중앙정부는 #175 문건을 하달하여 “이닝에서의 사건을 묻거나, 외부인에게 말하거나, 이닝에 사는 친척을 방문하는 것을 금지”하였다. 현재 신강 위구르 자치구에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제작된 꾸란이 계속 유입되고 있으며, 터키와 이집트의 회교주의자들이 위구르의 분리주의 운동을 암암리에 지원하고 있다.
2. 분규발생의 실태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에도 신장에서의 민족 갈등은 지속적으로 발생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미 1957년 중국 정부는 반공적이고 민족주의적 경향을 보이는 카자크족 관리들에 대해 공식적인 비난을 퍼부었으며, 1962년에는 6만 명 이상의 카자크족들이 국경을 넘어 소련으로 넘어가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신장의 분리독립운동이 주목을 끌기 시작한 것은 1990년 4월 아커수 근처의 바렌에서 대규모 반란사건이 일어난 후부터이다. 당시 5O명(공식 발표는 3O명)의 위구르인들과 키르기스족 반역자들이 공안경찰에 의해 사살되었다. 그리고 이 사건은 이례적으로 당국에 의해 키르기스 민족에 의해 시작된 ?반혁명 반란(counter-revolutionary rebellion)?으로 명시되었다. 그후로도 간헐적인 폭력시위가 6월까지 계속되었고, 1991년 구소련 해체 후에는 반공주의자들과 민족 분리주의자들에 의한 시위가 신장위구르 자치구 여러 지역에서 발생했다. 1992년에는 더 심각한 사건이 발생하였는데, 그해 2월에 일어난 우루무치 버스 폭파 사건으로 인해 최소한 6명이 사망하였다. 빈발하는 분규를 막기 위해서 1992년 1월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의 민족위원회부위원장을 지냈던 왕언마오는 외부세력으로부터 신장을 보호하기 위한?철옹성(a great bon wall)'을 건설하자는 요청을 하기도 했다. 중국 공안부에 따르면, 신장위구르자치구에서는 1996년에 100명 이상 규모의?폭력난동사건?이 98차례 천명 이상 규모의 폭력사건이 26차례 발생하고, 420여 명의공안과 무장경찰 및 군이 의무 집행 중 사상 당했다고 한다. 이 해 3월에는 카슈가르에서는 친 중국적인 이슬람 성직자와 그 아들이 분리주의자들에 의해 피살되었고, 5월에는 고위 정부 관료에 대한 공격이 있었으며, 9월에는 위구르족 정부관리들이 예청에서 살해당하는 등의 사건이 이어졌다. 이로 인해 1966년 한 해에만 4700이 체포되었으며, 3,130명이 징역을 선고받았고, 이 중에서 지도급 인원220여명에게는 사형이 언도되었다. 이듬해 초인 1997년 1월 28일부터 2월 5일까지, 신장위구르자치구 북서부에 위치한 이닝, 공리우, 보러, 니러커, 터커스, 신위엔 등 6개 도시에서 대규모의 폭동이 발생하였다. 참여 인원은 34,00여명이었고, 이닝과 공리우 두 곳에서만 6백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 사건으로 1,500여명이 체포되었으며 경제적 손실은 1억 1천만 위안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자결자치(自決自治)?, ?위구르인이 신장을 다스린다(維吾爾人治新麗)?, ?한인 통치를 끝내라(結束漢人統治)? 등의 내용을 담은 표어를 내걸고 당정 기관으로 몰려가서, ?공산당은 물러가라!(共屋黨回老家!)?, ?한인은 물러가라!(漢人回老家!)?, ?위구르스탄 만세!(維言爾斯坦萬歲!)? 등의 구호를 외쳤다.이후에도 덩샤오핑의 사망 무렵인 1997년 2월 25일에 신장위구르 자치구의 수도 우루무치에서는 공용버스에 대한 폭탄테러가 발생하였으며, 같은 해 3월 7일에는 베이징의 번화가에서 급진적인 위구르 분리주의자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버스폭탄테러가 발생하였다. 1998년 초에도 우한시에서 버스폭파 사건이 발생했는데, 타이완의 한 신문 분석 기사에 의하면 이 사건의 수법이나 시기상의 유사성에 비추어볼 때 신장 분리주의자에 의한 테러일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13) 또 1998년 8월 10일 새벽에는 신장 독립 무장단체인 자칭?민족해방진선(民族解放陳線)'에 의해 아커수 서쪽 원수에 있는?553?공군기지와, 그보다 더 서쪽에 있는 우쉬 및 바이청의 무장 경찰이 습격 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 사건으로 52명의무장세력이 전원 섬멸 당하고 중국군 측의 사상자도 70여 명이 발생했다. 이 해 8월 하순 중앙군사위원회의 「찌엔빠오(簡報)」발표에 따르면, 1998년 신장에서는 1월, 2월, 5월, 6월, 7월에 걸쳐 71건의 무장폭력 사건이 발생하여 250여 명이 사망하였다. 14) 이런 일련의 사태를 통해 볼 때, 이 지역에서의 분규는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점차 계획적으로 일어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분리주의자들에 의한 테러 사건들로부터 신장 분리주의자這의 움직임이 보다 조직화, 과격화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최근에도 중국에서 4명의 위구르족이 분리주의 활동과 관련하여 체포되었는데, 이 가운데 3명은 분리주의 게릴라 집단의 지도자 혐의로 체포된 것이었다고 한다.
3. 분리독립운동에 대한 중국의 대응 신장위구르자치구에 거주하는 소수민족의 비중은 한족을 제외하면 천 만 명이 채 되지 않는다. 중국 전체 인구와 비교할 때 이 숫자는 대단히 적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중국은 신장에서 발생하는 분리독립운동에 대해 매우 민감하게 대응하며, 중국으로의 보다 완전한 통합을 이루기 위해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다. 무엇보다 티벳 사태로 인한 부담을 안고 있는 상태에서 위구르의 분리독립운동을 방치할 경우 중국의 국가 통합 문제가 매우 위협을 받기 때문이다. 신장 지역의 분리주의 움직임에 대한 중국의 공식적인 반응은 몇 가지 부정적인 태도로 나타난다.15) 첫째, 불특정한 ‘서구 세력’을 포함한 외부적인 요인들에 대한 비난 둘째, 신장위구르 자치구에서 무슬림 민족들과 해외 무슬림 종교인들과의 접촉을 규제 셋째, 중앙 아시아 국가들의 독립이 신장의 불안정을 자극한다고 보는 견해16) 넷째, 분리주의자들이 전체 소수민족들 중에 극소수에 지나지 않은 반혁명분자들이라고 주장하는 것 다섯째, 안정과 민족단일체를 이룰 수 있는 방안으로서 경제적 발전과 외부세계로의 개방을 강조하는 것 이와 같은 상황에서 신장의 분리독립운동은 중국의 대응 속에서 장기화 될 것으로 보여진다. 직접적인 억압을 포함한 국가 내부적 결속 강화 및 경제 발전 추진, 그리고 중앙아시아 인접 국가들과의 연계강화라는 중국의 대처는 지금까지도 지속되고 있다.
Ⅷ.신장의 이슬람교
현재 중국에는 23,000여 군데의 회교사원(모스크)이 있으며, 그곳에서 3만명 이상의 회교 사제(아홍 또는 이맘)가 예배를 주재하고 있다. 그 사제들 중 일부는 1983년에 북경에 문을 연 이슬람교 신학 연구소에서 더 많은 교육을 받고 있다. 현재 8곳의 이슬람 대학이 문을 열었고, 수백명의 사제승 또는 종교 연구가들이 매년 훈련을 받고 있다.17) 이슬람교는 7세기초 아라비아 반도에서 시작되어, 당나라때 실크로드와 海路를 통하여 중국에 소개되었다. 중국문서에서는 이슬람교를 "大食法", "大食敎", "天方敎", "모하멧敎", "淸眞敎", "回敎", "回回敎"라고 기록되어 있다. 신장에는 10세기 중엽에 카쉬카르와 아투스 지역에서부터 실제적으로 이슬람이 전파되기 시작하였다. 이슬람이 전입되지 전에 신장 지역은 기원전?후에 인도로부터 육로를 통하여 불교가 전래된 후, 3세기 말에는 호텐, 카쉬카르, 악수, 쿠처, 일리, 엔치, 투루판, 산샨 및 하미까지 신장 전 지역에 불교가 성행하였다. 그리고 각 소수민족들은 샤마니즘, 마니교, 배화교(조르아스터교), 경교등을 숭배하고 있었다. 10세기 초 아랍제국의 동진에 따라, 이슬람교가 신장에 전입되기 시작하였으며, 10세기 중엽 커라칸조의 3대 카칸인 술탄?부그라칸이 신장에서는 처음으로 무슬림이 되어, 커라칸조의 수도인 카쉬카르는 이슬람교의 전파 중심지가 되었다. 그로인해 커라칸조의 30만 돌궐인(투르크족)들이 일시에 무슬림이 되었다. 그 후, 위티엔(于田)은 이슬람교의 기지가 되었다. 13세기에는 몽고 차카타이칸국의 카칸인 투헤이루티무얼이 몽고의 왕으로는 최초로 무슬림이 되어 신장의 전지역에 이슬람이 평화적인 방법으로 이슬람이 전파되었다. 그래서, 이슬람교는 악수, 쿠처, 엔치, 일리 지역까지 전파되었다. 15세기 초에는 투루판지역에, 15세기 말에는 하미 지역까지 확산되었다. 현재 신장에는 10개의 소수민족 - 위구르족, 카자크족, 회족, 키르키즈족, 타타르족, 우즈벡족, 타지크족, 동시향족, 싸라족, 바오안족(뒤 3민족은 해방 후 내지에서 옮겨온 민족임) - 이 이슬람교를 신봉하고 있다. 그 인구는 760여만에 이르고, 신장 인구의 58%를 차지한다. 이슬람교에는 여러 종류의 교파가 있으며, 그 중에 신장에 전파된 주요 교파는 순니파의 하니피파, 시아파의 이스마엘파 및 수피파 등이다. 위구르족, 카자크족, 회족, 우즈벡족, 타타르족등의 대다수가 순니파이고, 위구르족과 우즈벡족의 일부가 수피파이다. 타지크족, 키르키즈족 등은 기본상 시아파의 이스마엘파에 속한다. 18) 1980년 자치구는 이슬람교 제2차 대표회의를 소집하여, "자치구 이슬람교 협회"를 회복시키고 활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1983년에는 지구, 주, 시 이슬람교 협회가 조직되었다. 80년 말부터는 자치구에서 종교인원을 선발하여 '중국 이슬람 학원'에 보내 교육받게 하고, 이집트 에즈하얼대학에서 깊이 연구하도록 하고 있다. 자치구 인민정부의 비준으로 우루무치에 '이슬람교 經學院'이 설립되어 종교인원을 배출하고 있다. 이전에, 코란은 위구르어로 번역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아 아랍어로만 되어 있었으나, 자치구 이슬람교 협회에서 위구르어와 한어로 번역한 《布哈里聖訓實錄精華》14만부와 위구르어로 된 코란을 출판하였다. 1990년에는 '중국 이슬람교 협회'의 관할하에 신장에 있는 155명의 무슬림들이 메카를 순례하고 왔다.19) -------------------------------------------------------------------------- 1. 신장에 이슬람교가 어떻게 전파되었는가?
신장에 이슬람교는 2가지 방법으로 전파되었으며, 그 전파과정은 3단계의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1) 전파 방법 ① 傳敎士의 傳敎활동, 상인들의 상업활동, 사회교류를 통한 방법등 평화적인 방법으로 전파 ② 지하드(聖戰,정복전쟁)를 통해 불신앙 지역을 정복하여 강제로 전파 2) 전파 과정 ①傳入시기(9세기말에서-960년) : 사만조(875-999)의 나쓰얼(納斯爾)왕자가 정권을 잡으려고 시도하다가 실패하여 카쉬카르로 망명하였다. 이때 동커라칸조의 카칸인 오고얼치아커(奧古爾合克)는 納斯爾을 아투스(阿圖什)에 지방관리로 배치하였다. 여기에서 사투크?부그라칸은 그를 알게 되었고, 그의 영향과 설교에 의하여 비밀리에 이슬람교를 받아들였다. 그후, 부그라칸이 집권할 때 백성들에게 개종할 것을 호소하였고, 이와 더불어 더 빠른 전파를 위해 강제수단도 채용하였다. 또한, 이슬람교를 믿지 않는 대칸(大汗)에 대해 지하드를 개시하였다. 이와 동시에 傳敎士들을 초원의 유목민족 중에 파견하여 선교를 진행시켰다. 960년에는 이슬람교가 커라칸조의 국교가 되었다. 20만의 유목민들이 이슬람교로 개종하게 되었다. 이때 이슬람교의 전파 범위는 카쉬카르지역에 국한되었다.
②초기전파시기(960년-1220년) : 960년 커라칸조는 이슬람교를 국교로 선포한 후 불교를 신봉하는 위티엔(于田)李氏왕조에 대해 정복전쟁을 발동하고 40여년동안 전쟁을 계속하여, 1006년 마침내 정복하였다. 그러나 于田의 불교도들은 반항투쟁을 계속해 오다가 11세기 중엽에 잠식되었다. 카라칸조는 于田李氏왕조를 멸망시킨 후 高唱회홀에 지하드를 발동하였다. 카라칸조의 군대는 이리강(伊犁河)를 건너 투루펀(吐魯番)에 침입하였다. 高唱회홀 군민의 완강한 저항으로 카라칸조는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퇴각하였다. 카라칸조는 또 탕구트(西夏)에 대해서도 지하드를 개시하였으나 역시 실패하였다. 그로부터 카라칸조는 무력을 통한 방법을 기본상 종결하였다. 西遼의 통치시기 때는 종교에 대한 자유정책으로 각종 종교가 자유롭게 전파되었다. 이슬람교는 이 때를 이용하여 高唱회홀에 대해 평화적인 방법으로 전파하였다. 큰 전파를 이루지는 못했으나 타림분지 서부와 남부에 확고한 지위를 갖는 종교가 되었다.
③전지역전파시기(1220년-16세기초) : 14세기초 이슬람교는 평화적인 방법으로 天山의 남북에 넓게 전파되어 불교, 경교와 병존하였다. 동차카타이칸국(東察合台汗國)의 투헤이루티에무얼 TuHeiRutiemur(1347-1362)과 그 후대 때 신장 각지에 이슬람교를 빨리 전파하기 위해 傳敎士를 파견하고, 백성에게 강제로 개종하도록 하였으며, 또한 불교지구에는 지하드를 진행하는 등 각종 수단을 사용하였다. 16세기에는 허미(哈密)지구에서 이슬람교가 우세하였다. 이 시기에 일부의 민족들은 기본적으로 전 백성이 이슬람교를 신봉하게 되었다. 13세기에 신장에 진입한 차카타이(察合台)몽고인들은 이 시기때 전부 이슬람교를 받아들였다. 그리고 위구르족은 기본상 모두가 이슬람교를 신봉하게 되었다. 淸代에는 위구르족, 타직크, 회족 뿐만 아니라 카자크족, 키르키즈족, 우즈베크족, 타타얼족등이 이슬람교를 신봉하였다.
Ⅸ.선교 현황과 선교전망 및 선교전략
역사적으로 위구르 민족에게 복음을 들고 들어가는 시도들이 있었지만 많은 장애로 인해 복음이 편만하게 전파되지 못했고 15세기 이후로 이슬람의 영에 강하게 매어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중국의 개방정책과 맞물려 중국 내륙에 대한 여행의 자율화가 되어 사업가로서, 교수로서, 학생으로서 등등의 여러 가지 상황을 가지고 세계 각지에서 80여명의 사역자들이 들어가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우루무치와 남쪽에 소수의 신자들이 있지만 싱강 위구르 교회는 존재하지 못하고 잇는 실정이다. 하지만 위구르 지식인들 사이에는 종교에 대한 회의가 일어나기 시작했으며, 점차 외국이나 큰 도시에 나가 살려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이렇게 탈출구를 찾고있는 이들에게 하 나님의 사랑을 전하는 것이 좋은 기회로 작용하고 있다.
1.선교사역 전망 1) 미전도종족 입양 사역 교회 차원에서의 자료수집 및 정탐을 통한 미전도 종족을 입양하고 후원하여 점진적인 교회개척 사역을 이룬다.
2) 캠퍼스 사역 교수나 학생 신분으로 들어가 현지 대학생들과 인격적인 관계형성 속에서 복음을 전하고, 양육한 소수민족 학생들이 고향으로 돌아가 전도사역을 하도록 돕는다.
3) 전문인 사역 Tent Maker로서 자신의 전문기술을 가지고 전문가 비자로 현지에서 장기 사역을 한다.
4) 현지법인 설립 현지에 한국회사를 세워 정부의 공식적인 허가를 받고 선교사들을 사업 비자로 장기사역할 수 있는 길을 돕는다. 예로 인터콥의 ‘꽃과 복음사역’이 있다.
5) 유학알선 및 국제 제자양성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유학을 나갈 수 없는 학생들에게 한국 등 유학의 길을 열어서 현지에서 복음을 전하고 돌아가서는 복음전파의 사명을 감당하도록 한다.
2. 꽃과 복음 프로젝트 꽃과 복음 프로젝트는 위구르 민족이 살고 있는 사막과 황무지의 땅(70%이상)에도 장미꽃이 피듯이, 영적 황무지(99.9%)인 그곳에 장미꽃과 같은 아름다운 거듭난 영혼들이 피어날 것을 보게 되리라는 비전으로 1997년 6월부터 기도로 시작되었다. 장기 비자를 얻을 수 있는 비즈니스 프로젝트를 구상하던 중, 한 방문객의 조언에 따라 시장 조사하면서 시작되었고, 현재는 선인장만 취급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동양란, 서양란 등 각종 화훼를 취급하는 농업 공동체의 원예사업을 구상 중이다. 98년 겨울부터 회사 인준 작업이 진행 중이고 현재는 가칭으로 회사를 설립하는 중이다. 99년에는 호탄에 부지를 20년 임대로 구하였고, 비닐하우스 2동을 시험 운영하고 있다. 50%가 동사하는 아픔을 겪었지만 1차 실험 재배는 성공적이었고 2차 시험 재배를 시도 중에 있다. 이 프로젝트는 한국 기후와 유사한 호탄에 본사를 두고 선인장을 재배하며, 소비도시인 우루무치에 1차 지사를 세워 판매 중이고, 카쉬와 이닝에도 지사를 설립 예정이다. 우선은 3년 안에 경제적인 자립을 이루어서 정부의 인정을 얻고 내수뿐 아니라 꽃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중앙아시아 쪽으로의 수출을 계획하고 있다. 비즈니스 선교로서 꽃과 복음 프로젝트가 갖는 의의와 장점은 여러 가지가 있다. 첫째로 꽃과 복음 프로젝트는 현지 사회를 건전하게 발전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현지의 황막한 주변환경을 꽃으로 아름답게 변화시키는 것은 주님의 문화 명령을 따르는 것이다. 둘째로 투자금액이 적게 들면서도 많은 사람을 참여시킴으로 고용을 창출할 수 있다. 농장 부지를 임대하고 그 안에 비닐하우스를 설치하고 재배를 시작하면 되므로 설비투자가 적게 든다. 셋째로 수익성 있는 선인장 사업을 통해 2-3년 내에 경영의 자립을 이루고, 이 사업을 바탕으로 계속 새로운 아이템을 개발하여 이 사업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고, 또한 이 사업을 계기로 현재 비즈니스로만 들어 갈 수 있는 10개의 관문 도시에 독립된 자회사를 설립하여 위구르의 모든 관문 도시에 선교사가 들어 갈 수 있는 길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창출되는 수익금으로 의료사업, 교육사업 등에 재투자하여 지역 사회에 기여하면서 궁극적으로 복음의 확산을 이룰 수 있다. 넷째로 꽃과 복음 사역은 농업공동체 사역을 통해 삶을 나누며 제자를 양육하는 사역이다. 농장에서 함께 일을 하며 공동체의 생활을 통해 현지 그리스도인을 전인격적인 제자로 양육하고 양성하는 사역을 할 수 있다.
Ⅹ. 영적 도해
1. 이슬람의 영 신강 위구르지역은 탈라스 전투를 통하여 본격적인 이슬람권에 들어가게 되었다. 이 지역의 역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우리는 중국 한족에 대한 반감이 더욱더 이슬람에 몰입하게 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주위의 중앙아시아 이슬람 국가들과의 문화적?정치적 상황의 유사성을 통하여 강한 이슬람권을 형성한다. 이 지역을 묶고 있는 매우 강한 영이다.
2. 분노의 영 신강위구르자치구의 독립분쟁 속에서 끊임없는 중국 한족에 대한 분노가 있다. 그들의 역사 속에서 억압됨과 다른 제국으로부터의 지배받았던 상황들이 분노의 영에 의해 조정되어 신강위구르자치구 독립분쟁에서 더욱 폭력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3. 물질의 영 이곳은 실크로드 상의 에 위치하여 오래 전부터 물질의 영이 있다. 역사 속에서 알 수 있듯이 위구르인들은 교역로의 이권을 차지하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했다. 또한 우루무치와 같이 도시화가 되면서 물질에 대한 그들의 욕망이 드러나고 있다. 세계의 전반적인 흐름들이 물질을 숭상하고 있는 상태라서 이곳에서의 상황도 무시할 수 없다.
기타 거짓의 영과 음란의 영, 또한 이슬람의 영향으로 여성들의 임권이 무시되고 있고, 한족에 비교한 민족적 열등감들이 그들 가운데 있는 듯 하다.
우리는 이와 같은 지역 연구를 통하여 하나님 아버지의 그 땅을 향한 마음을 알고 자 한다.
참고문헌 1. 국문 김병호. (1997). 중국민족 문제와 조선족. 서울: 학고방 金益洙. (1993). 中國의 工業發展戰略과 産業政策. 서울: 對外經濟政策硏究所. 122-137. 金振浩 編. (1997). 中國 中西部 內陸 省別 投資環境. 서울: 韓國輸出入銀行. 김호동. (1999). 황하에서 천산까지. 서울: 사계절 출판사. ; (1999). 근대 중앙아시아의 혁명과 좌절. 서울: 사계절 출판사. 새뮤얼 헌팅턴 지음, 정재남 옮김. (1999). 문명의 충돌. 서울:김영사 최한우. (1997). 중앙아시아학입문. 서울: 도서출판 펴내기. ※ 서윤희, 중국신장위구르자치구 분리독립운동의 변화. 연세대학교 대학원 지역학 협동과정 동북아 전공
2. 중문 楊金星. (1996). 我國鄕鎭企業勞動力需求的變動及其地區差異硏究. 人口硏究, 20(5), 17-22 楊策 主編. (1991). 新疆縱橫. 北京: 中央民族學院出版社. 于蜀?張茂林. (1998). 九十年代以來我國人口遷移新特點探論. 人口硏究, 22(3), 54-60 任强?原新?馬紅梅. (1998). 新彊流動人口分析. 人口硏究, 22(6), 31-40. 張毅?何秉宇 外. (1999). 和田地區貧困與反貧困硏究. 新彊大學學報, 27(1), 34-36. 張潤君. (1998). 東西部農村經濟發展中的制度變遷與經濟績效初探. 農業經濟, 9, 39-44. 張振華. (1998). 淺議新彊非公有制經濟的發展. 新彊大學學報, 26(4), 38-40. 拓和提. (1995). 維吾爾歷史文化硏究. 北京: 民族出版社. 何景熙. (1997). 我國西部民族地區可持續發展問題硏究. 民族硏究, 第2期, 39-48. 胡鞍鋼?王紹光?唐曉光. (1995). 中國地域差距報告. 沈陽: 遼寧人民出版社.
3. 영문 Barnett, A. D. (1993). China‘s Far West : Four Decades of Change. Boulder : Westview Press. 343-407. Beller-Hann, I. (1998). Crafts, entrepreneurship and gendered economic relations in Southern Xinjiang in the era of 'socialist commodity economy. Central Asian Survey, 17(4), 701-718. Gladney, D.C. (1992). Transnational Islam and Uighur national identity. Central Asian Survey, 11(3), 1-18. Hinton, W. (1990). The Great Reversal. New York: Monthly Review Press. 124-174. Humphrey, C. & Sneath, D. (1996). Culture and Environment in Inner Asia, Volume 2: Society and Culture, Cambridge: The White Horse Press. Niyaz, P. (1997). The Gulja Uprising!(February 1997): Yining(Khulje) massacre, an eyewitness record. www.geocities.com/CapitolHill/1730 Yao, S. & Liu, J. (1998). Economic Reform and Regional Segmentation in Rural China. Regional Studies, 32(8), 735-746 The New Pioneers. The Economist, June 19th 1999. 30.
4. 통계자료 新疆維吾爾自治區統計局 編. (1993). 新疆統計年鑑. 北京: 中國統計出版社.
5. 영문 자료 검색 http://www. china.org.cn/NewsAndReport/98jul/e11-7.html http://www. insidechina.com/news.php3. http://www. insidechina.com/news.php3?id. http://www. caccp.org/et/etiul. http://www. afn.org/~afn20372/pol/fet.insidechina.com/news.php3.
각주
1) 직할시 : 烏魯木齊市, 克拉馬依市, 石河子市 자치주: 昌吉回族自治州, 伊犁哈薩克自治州, 博爾塔拉蒙古自治州, 巴音郭楞蒙古自治州, 克?勒 蘇柯爾克?自治州 지구: 哈密地區, 伊犁地區, 塔城地區, 阿勒泰地區, 吐魯番地區, 阿克蘇地區, 客什地區, 和田地區2) 신강에서 향진기업이 발전하지 못했던 원인에 대해서는 졸고 김소영. (1999). “중국 소수민족지역의 국가-농민 관계: 신강위구르자치구의 위구르족을 사례로”를 참고.
3) 현지인들은 생산대대와 생산대를 각기 “大隊”, “小隊”라고 부른다. 4) 胡鞍鋼?王紹光?唐曉光, 『中國地域差距報告』, 沈陽: 遼寧人民出版社, 1995, p.78 ; 新疆維吾爾自治區統計局 編, 『新疆統計年鑑』, 北京: 中國統計出版社, 1993, p.37-39
5) 伊犁哈薩克自治州는 카자흐족이 26.1 %를 차지하기 때문에 한족 비율이 좀 낮게 나타나는 것이다.6) 1996년 남강지역으로 유입되는 인구의 53.87%가 喀什地區로 유입되고 있고, 30.68%가 巴音郭楞蒙古自治州로 유입되고 있다. 그러나 喀什地區는 1993년까지는 30%선상의 유입율을 보이다가 1996년 들어 갑자기 50% 선으로 증가했다. 이로부터 이 지역의 유동인구가 한족이라기 보다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신강지역과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교역이 활발해지면서, 중앙아시아인들이 주로 교역을 목적으로 방문하는 수가 많아졌기 때문에, 이 지역 유동인구의 주류가 한족이 아닌 중앙아시아 사람들임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카쉬를 방문했을 때, 파키스탄 사람들이 장사하러 많이 온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러나 巴音郭楞蒙古自治州의 상황은 좀 다르다. 이 지역은 사막 한가운데 위치해 있으며, 카쉬시와도 멀리 떨어져 있다. 그러므로 이 지역으로 유입되는 인구는 대부분 한족임을 추정해 볼 수 있다.
7) 위구르인들이 즐겨 쓰고 다니는 사각의 전통모자이다. 8) 747년 당나라는 고구려 출신 고선지 장군의 지휘하에 파미르 고원으로 원정군을 파견하였고 여기에서 티베크를 크게 불리쳤다. 750년 중국이 타쉬켄트 원정 때 자행했던 잔인한 약탈 행위는 그 지역 서부 투르크인들로 하여금 이슬람 압바스 왕조 칼리프에게 원정 요청을 하게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하여 아랍 이슬람 압바스 군대는 중국과 사이가 좋지않은 티베트, 돌궐계 카를룩과 연합하게 되었고 중국은 전통적으로 중국과의관계가 좋은 튀르크계 위구르국-위구르 연합군이 중앙아시아 타쉬켄트 부근 탈라스강 유역에서 충돌하여 이른바 탈라스 국제전이 발발하게 되었다 이 전쟁은 아랍-티베트="카를룩" 동맹군의 승리로 끝나게 되어?다. 이로 인해 중앙아시아 심장부인 투르키스탄은 1세기 동안 티베트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스텝 서부 트란속시아나는 압바스 왕조의 지배에 들어가게 되었다. 탈라스 국제전은 중국과 중앙아시아 역사에 있어서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하였는데, 이 전쟁에서의 패배로 인해 이때부터 트란속시아나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급속히 쇠퇴하게 된 것이다. 또한 이슬람교가 투르크족의 군소국가들과 부족들에게 전해져서 주앙아시아에 이슬람이 확산되었고, 그 이후 중앙아시아 이슬람은 계속 팽창하여 오늘날 거대한 이슬람 세력으로 남아있게 된 것이다. 9) 카라한(Kara Han)왕조는 중앙아시아에 건설된 최초의 투르크계 이슬람 국가로 9세기 중엽 위구르제국이 키르키즈인들에 의해 붕괴되자 투르크계 카를룩 부족이 중앙아시아 서부 지역에서 세력을 형성하면서 세운 국가이다. 10) Mackerras, China's Minorities, p.64. 11) 과거에 구소련은 15개 공화국으로 형성된 연방으로 인종적으로 9개의 백인 공화국들과 6개의 아시아인 공화국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 백인 공화국들 중 제일 먼저 91년 초에 발트 삼국이 고르바초프의 승인으로 독립해 나갔고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로루시, 몰다비아, 아르메니아, 그루지아 등 6개의 백인계 공화국과 카작스탄, 우스벡키스탄, 키르키즈스탄, 튀르크메니스탄, 아제르바이잔, 타직키스탄 등 6개의 아시아계 공화국들이 91년 12월 공산 보수파의 쿠데타 실패 이후 독립했다. 아시아계 공화국들 중 타직키스탄이 이란계이고 나머지 5개 공화국은 튀르크계(돌궐계)이다. 현재 발트 삼국과 그루지아를 제외한 11개 독립국가들은, 비록 아직도 완전히 정착된 것은 아니며 또 앞으로 얼마나 더 유지될지도 모르지만, 독립국가 연합 (CIS: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형태의 경제블럭을 형성하고 있다. 12) 『중앙아시아학 입문』,최한우, 1997, p.599 13) 「中央日報」 19988年 2月 16日, 弟7面. 14) 『動向』, 1997年 9月號, p.13-14 15) Harris, "Xinjiang, Cental Asia the Implications China's Policy in the Islamic World", p.118 16) 중국은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독립이 신장 분리독립 운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인정하면서 이들 국가와의 공동 대처를 모색하고 있다. 중앙아시아 국가들 역시 신생 국가로서 중국과 같은 민족 문제들을 안고 있을 뿐 아니라 자국의 발전을 위해 지역적 안정을 추구해야 하는 입장에서 주변 강대국인 중국과의 협조를 강화하고 있다. 17) 『중국을 알자 Ⅲ』, KOMF 편저, , 1994, p 105-106 18)『新疆槪覽』, 劉宇生 等 主編, 新疆人民出版社, 1995, p 92-93 19)『今日新疆』, 陳大俊 主編, 新疆人民出版社, 1992, p34-40 |
'중앙아시아진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신장 위구르 요약 (0) | 2007.02.26 |
---|---|
[스크랩] 신장의 주요 지구(地區) (0) | 2007.02.26 |
[스크랩] 최근 러시아 기업인들 사이에 유행하는 은어에 대해(1) (0) | 2007.02.26 |
[스크랩] 많이 쓰는 표현들.. (0) | 2007.02.26 |
[스크랩] 알마티市, 카자흐스탄서 단연 최고성장 도시 (0) | 2007.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