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신경전도 및 근전도 검사의 원리
신경세포가 자극을 보내면 이 자극은 말초신경, 신경근접합부를 거쳐서 근육에까지 전달되어서 근육이 수축하게 됩니다. 신경세포부터 근육을 운동단위라 하며, 신경세포의 자극부터 근육의 수축 모두 전기적 활동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신경전도 및 근전도 검사는 근육과 말초신경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여 말초신경, 신경-근 접합부 및 근육질환을 진단하는 데 이용되는 신경생리학적 검사입니다.
2. 근전도 검사를 받기 위한 준비사항
- 검사 전 물을 비롯한 모든 음식물을 드셔도 좋습니다.
- 검사 당일 아침에 가볍게 샤워를 하고, 몸에 바른 로션이나 바디오일 등은 닦아내셔야 합니다.
- 안면신경에 병변이 있으신 분은 화장을 하지 마셔야 합니다.
- 귀금속 및 시계 등의 쇠붙이는 착용하지 마십시오.
- 2-6세 연령의 소아는 검사에 협조가 가장 잘 안되므로 검사 30분 전에 Chloral Hydrate 50-75mg/kg을 투여하면 대개 운동 및 감각신경전도검사를 시행하는 데 방해받지 않을 정도로 진정된다. 단, 운동 및 감각신경전도검사와 침근전도 검사를 동시에 시행해야 할 경우에는 운동단위 활동전위(Motor unit action potential)를 관찰할 수 있어야 하므로 Midazolam을 코 속으로 투여하거나 경구 투여하는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 필요한 경우에는 침근전도 검사 1시간 전에 국소마취 연고인 EMLA 크림을 검사할 부위에 바르고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단, 생후 1개월 미만의 신생아에게는 피부 도포만으로도 많은 양의 약이 흡수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검사실에서 검사 전에 외래 진찰실에서 시행할 때처럼 이학적, 신경학적 검사를 시행합니다.
3. 신경전도 검사 방법
- 침대에 누워서 전극을 검사하고자 하는 신경의 주행경로 위에 부착한다.
- 다른 부위에서 같은 신경을 검사하여 전기자극에 대한 반응을 기록한다.
- 자극 부위와 기록용 전극 사이의 거리를 cm 단위로 측정한다.
- 신경을 자극할 때부터 근육수축이 시작될 때까지 걸린 시간을 m/sec 단위로 기록한다.
- 전극을 떼어내고 침근전도 검사 준비를 한다.
4. 침근전도 검사 방법
- 침대에 누워 바늘처럼 생긴 침전극을 근육에 삽입하여 근육에서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를 검사한다.
- 침전극을 근육에 넣어둔 채로 가볍게 힘을 주어 근육을 약하게 수축시켜서 몇 개의 운동단위의 전기적 활동성을 관찰한다.
- 침전극을 근육에 넣어둔 채로 있는 힘껏 힘을 주어 근육을 최대한 수축하여 동원될 수 있는 운동단위의 활동성을 관찰한다.
5. 신경전도 및 근전도 검사의 부작용
- 신경전도 검사를 하게 되면 전기자극은 신체에 전혀 해롭지 않은 미약한 전류이며, 매우 약하기 때문에 아프지 않고 찌릿한 느낌을 주는 정도입니다.
- 침근전도 검사를 하게 되면 검사한 근육들에서 미약하고 국소적인 염증이 생길 수 있으나, 약간 따끔한 정도이며 하루 이틀 뒤에는 증상이 사라지므로 안심하셔도 됩니다.
6. 신경전도 및 근전도 검사 전 상담이 필요하신 분
- 인공심장박동기를 착용하신 분
- 간염, AIDS 등 만성전염병을 앓은 경험이 있으신 분
- 항응고제를 복용하고 계신 분
- 쉽게 멍이 드시는 분 (예. 혈우병, 재생불량성 빈혈을 앓고 계시는 분)
'직업의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뇌혈류초음파검사 (0) | 2008.05.27 |
---|---|
[스크랩] 경동맥초음파검사(LAMINAR 3000) (0) | 2008.05.27 |
어떤 공인중개사 이야기. (0) | 2008.04.03 |
[스크랩] 더욱 빨라진 해외인력 채용 12개 업종은? (0) | 2008.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