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di과목

[스크랩] 1강(3/10) 영성과 기독교 영성

주거시엔셩 2011. 5. 5. 18:28

학습목표: 영성과 기독교 영성 그리고 다른 학문의 차이점을 이해한다.

 

1. 영성에 대한 관심

오늘날 교회에는 실패와 좌절을 겪은 사람들이 많이 있다. 교회는 이들에게 어떤 해결책을 주고 있는가?


이러한 문제들의 답들을 우리는 영성이라는 주제를 부각시켜서 해결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성숙한 영성은 문제 해결의 기초가 된다.


2. 영성이란?

1) 어원

구약: 루아흐(ruach)        신약: 퓨뉴마(pnuma)

(1) 루아흐(ruach)의 의미

  ruach 은 성령을 표기하는 구약성서의 히브리어이다.

  ruach는 바람, 숨, 생명력, 영(Spirit), 정서, 의지력 등

  ruach는 구약에 389회 나타나는데 이중에 378회는 히브리어, 11회는 아람어로 기술되어 있다.

(2) 퓨뉴마(pnuma)의 의미

  헬라어 동사에서 나온 말로써 바람이 불다. ‘숨을 쉬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신약성서에서는 복음서에서  105회, 사도행전에서 69회, 바울서신에서 161회, 공동서신에서 27회, 계시록에서 23회 등 모두 385회 사용되었다.

2) 일반적 의미

  영성은 "신령한 품성 또는 성질", 또는 "신령스럽게 총명한 품성 또는 성질, 천부의 총명",이다.

  카톨릭의 영성신학자 조르다 오먼(Jordan Aumann)은 "넓은 의미로, 영성은 한 사람의 행동이 유래된 태도나 정신의 바탕이 되는 어떤 종교적 또는 윤리적 가치를 의미한다."라고 하였다.

  홈즈(Urban T. Homes)는 "영성이란 인간의 관계성 형성 능력이며, 관계성을 향한 우리의 개방성이며, 전인을 포함한 우주적 인간 능력이다"라고 하였다.

  Alister E. McGrath는 어떻게 정의 하고 있는가?

  영성: "종교생활에 대한 탐구이며, 그 종교가 정의하는 범위와 규범 안에서 살아가는 삶의 총체적인 경험이다."

3) 기독교 영성

  유해룡은 [기독교 영성과 영성신학]에서 4사람의 신학자를 소개하면서 초월적인 관계성에 영성의 초점을 두고 있다.

  (1) Joann Wolski Conn: 자아초월적인 의미로서 '영'을 말한다.

  (2) Ewert Cousins: 전통적으로 인간의 내적인 차원을 '영(spirit)'라고 했다.

  (3) Sandra Schneiders: 영성을 자아 초월과 관련시키고 있다.

  (4) Bernard McGinn: 기독교 영성이란 교리보다는 기독교적인 확신에 대한 살아있는 경험이다.

  이상과 같은 네 가지 정의들에서 영성이란 인간의 '자아 초월적인 능력'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결코 철학적이고 사변적인 용어가 아니라 경험과 연결되어지는 역동성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서 홈즈(Urban T.Holmes,Ⅲ)는

  기독교 영성을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와 역사하심에 의하여 그리스도인에게 주어진 것으로 하나님과의 관계와 사람과의 관계, 자연과 세계 그리고 역사와 사회와의 관계에서 온전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초월적이고 신비적인 능력이다. 이러한 능력은 훈련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결국 영성은 사람이 세상을 바라보는 세계관이고

  "영성신학은 하나님의 초월적 은혜에 대한 인간의 믿음의 응답이며, 하나님·인간·자연 그리고 역사와의 관계성 속에 있는 개인이나 공동체의 기도와 삶의 영적(초월, 궁극, 전인) 변화에 대한 체험, 이론, 훈련을 다루는 신학의 한 분야"라고 말할 수 있다.

  Alister E. McGrath는 기독교 영성을

  “그리스도인의 존재에 대한 탐구이며, 기독교의 근본적인 개념들을 함께 묶어주어 기독교 신앙의 범위와 규범 안에서 살아가는 삶의 총체적인 경험이다.”고 정의한다.

  그러므로 기독교 영성이란 인간 속에 하나님을 섬기는 생명의 특질로, 참 영성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본받아가는 삶이며, 구체적이면서 공동체 속에서 실천되어지는 삶 전반을 가리킨다. 즉 삼위일체이신 하나님의 역사를 통하여 하나님과의 관계성 속에서 하나님의 형상으로 변해가는 인간의 정신일체를 포괄한 삶 전체를 가리킨다.


3. 어떻게 영성을 훈련할 것인가? = 영성훈련의 접근 방법

  영혼과 육체의 상관관계 = 전인적이고 관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전인적”이라는 말은 인간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 곧 정신과 육체를 분리하지 않는 전인으로 이해하고 영성훈련을 마음훈련과 생활 훈련을 통합적으로 관점이다.

  “관계적인” 접근은 영성을 관계성으로 보고 하나님, 인간 그리고 사회(자연)에 대한 세 가지 측면에서 올바른 관계를 형성하려고 하는 훈련과정이다.

  세 가지 방향에서 실천해야 한다.

  1) 하나님과의 관계: 하나님의 뜻을 분별함, 그 뜻에 순종함

  하나님= 우리의 삶의 현장으로 인도하신 하나님을 발견한다.

  기도와 묵상, 거룩한 독서 등을 통해 하나님의 뜻을 발견한다,

  = 우리는 하나님의 목적을 위해 쓰기 위한 사역의 도구임을 인식하고 우리 안에 계시하시는 하나님의 뜻을 발견한다. = 기질에 대한 공부는 우리에게 향한 하나님의 뜻을 보다 분명하게 알게 해준다. 영혼의 깊은 어두움이라는 Deep Darkness 속에서 거기에 계시는 하나님을 만난다.

  2) 사람과의 관계: 사랑, 겸손, 섬김의 실천= 성령의 열매, 곧 성령의 충만함과 성령께서 동행하시는 생활

  = 사람과의 관계성의 훈련을 한다. 관계의 결손과 갈등에서 오는 문제를 극복하고 화평케 하는 자로서, 팔복을 실현하는 사람으로 복 있는 자로서 그리고 그리스도의 제자로서 십자가의 남은 고난을 자기의 몸에 감당하는 삶을 살아가도록 한다.

  3) 사회(자연)와의 관계: 하나님 나라를 실현함, 창조의 목적을 이루고 하나님의 공의가 이 땅에 실현되고 그의 평화가 이루어지도록 우리를 드림

  = 자연과 사회의 관계에서= 정의와 평화, 그리고 창조세계의 보존을 위한 우리의 노력을 실천하도록 나아가서 하나님 나라를 실현하는 삶=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삶을 산다.


4. 신비주의와 영성

1) 신비주의는 기독교 신앙에 대한 관계적, 영적, 경험적 단면을 강조하는 접근방식이다.

2) 신비주의라는 용어는 종교적이거나 비종교적 상황에서 발생하는 내적 체험을 강조하는 영적 문제에 대한 접근 방식이다.

3) 신비주의는 특정한 기독교 영성 학파를 지칭하는 데 사용하였다.


5. 영성훈련과 목회상담 그리고 심리치료의 관계

  Psychotherapy, Pastoral Counseling과 영성지도(Spiritual Direction)의 차이는 무엇인가?

  ‘심리치료’는 현존하는 감정, 동기, 개인의 특성에 관심을 기울이지만, ‘영적훈련’은 개인의 특별한 영적 은사와 은총이 발견되고 성숙되고 개발되는 과정과 관계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목회상담 또는 심리치료는 4가지 면에서 영성훈련과 다르다.

  1) 영성훈련은 하나님과 하나님의 하신 일에 집중적인 관심을 가지고, 목회상담은 신학이나 신념에 필연적으로 관심을 가지지는 않는다.

  2) 영성훈련은 수도원운동에 뿌리를 두고 있고, 목회상담은 거기에 전적으로 의존하지는 않지만 기독교 신학 안에 있는 어떤 요소들에서 추출된 새로운 원리이다.

  3) 영성훈련은 기독교 공동체의 삶과 거룩한 실천에 뿌리를 두고 있고, 목회상담은 그 공동체와 분명하게 연결되지는 않는 어떤 사무실에 위치하고 있다.

  4) 영성훈련은 오랜 기간의 인도에 집중하고 있고 목회상담은 우선적으로 문제 해결과 정서적인 무질서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Psychotherapy(심리치료) 

*Therapist(심리치료자)

Pastoral Counseling

(목회상담) 

*Counselor(상담역)

Spiritual Direction(영성지도)

*Spiritual Director

(영성지도자)

Subject 

(주체)

Disordered patient

(병든환자)

Troubled client

(문제를 지닌 피보호자)

Soul searching for God

(하나님을 찾는 영)

Goal 

(목표)

Resolving the psychic conflict

(심리적 갈등의 해결)

Healing, Sustaining

Reconciling, Guiding

(치유, 양육, 조화, 안내)

Spiritual growth in

relation with God(하나님과의 관계속에 영적성장)

Method 

(방법)

Use of techniques

(전문기술의 사용)

Way to benefit the client

(피보호자에게 이로운 방법)

Person becomes a vehicle of God's grace(사람이 하나님의 은혜의 도구가 됨)

Attitude 

(마음가짐)

Therapist has

responsibility 

(심리치료자가 책임짐)

Client is responsible

(피보호자가 책임있음)

God has responsibility

(하나님이 책임지심)

* 심리치료에서, helper의 태도는 “my will be done."  

* 목회상담에서,                 “our will be done."

* 영성훈련에서,                 “Thy will be done."

 

출처 : 기질치유상담연구원(ITHC)
글쓴이 : 주바라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