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사진포함): 두산백과사전, 위키백과, 머니투데이, 부산일보 등의 자료를 종합함..^^;(moly)
< 남수단 공화국(Republic of South Sudan) >
1. 남수단 국기 : 두산백과사전 자료임..^^
남수단의 국기는 제2차 수단 내전이 종식된 2005년에 제정되었으며 수단 인민 해방군의 기를 바탕으로 제정되었다. 케냐의 국기와 유사한 디자인이며 검정색과 빨강색, 초록색은 범아프리카색이다. 검정색은 흑인을, 빨강색은 자유를 위해 흘린 피를, 초록색은 국토를, 두 개의 하얀색 선은 평화를 상징한다. 왼쪽의 파란색 삼각형은 나일 강, 노란색 별은 베들레헴의 별로 남수단의 단결을 상징한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국기에 이어 문양 없이 6가지 색 이상이 사용된 두 번째 국기이다.
2. 남수단 지도 및 자연 : 두산백과사전, 위키백과, 부산일보 자료임..^^
▲ 남수단 행정구역
정식 명칭은 남수단공화국(The Republic of South Sudan)이다. 국토 면적은 61만 9,745㎢이며, 수도는 주바(Juba)이다. 아프리카 동북부에 있는 내륙국으로, 수단의 남쪽, 우간다·케냐·콩고의 북쪽, 에티오피아의 서쪽, 중앙아프리카공화국의 동쪽에 자리 잡고 있다. 국경선은 5,068km(수단 1,946km, 중앙아프리카공화국 990km, 콩고 628km, 에티오피아 837km, 케냐 232km, 우간다 435km)에 이른다.
1899년 영국-이집트 공동통치가 시작되면서 행정적으로 수단을 북부와 남부로 분리한 후부터 현대의 남수단이 등장하였다. 1956년 수단이 독립한 후에도 북부와 남부는 종교·인종·문화 갈등으로 두 차례에 걸친 내전(1955~1972년, 1983~2005년)을 치렀다. 2011년 7월 9일 수단에서 분리되어 독립국가가 되었고, 193번째 유엔 회원국으로 등록되었다. 행정구역은 10개의 주(州)로 구성되어 있다.
습지와 열대우림, 사바나(열대초원), 산악지대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평탄한 지형이 주를 이룬다. 우간다와 경계를 이루는 남부에는 산악지대가 펼쳐져 있다. 이곳에는 이마통(Imatong), 디딩가(Didinga), 동고토나(Dongotona) 등 해발고도 3,000m가 넘는 산들이 있다.
남수단의 세 지역 중 하나인 바르 알 자발(Bahr al Jabal) 지역에는 수드(Sudd) 또는 애즈 수드(As Sudd), 알 수드(Al Sudd)라고 불리는 광활한 습지대가 펼쳐져 있다.
수드는 세계에서 가장 큰 습지대 중 하나이며, 나일강 유역에서 가장 맑은 물로 이루어진 습지대이기도 하다. 백나일강(White Nile River)으로 인해 형성된 거대한 수드는 전국토의 15% 이상을 차지한다. 길이가 남북 500km, 동서 200km에 이르며, 평균 면적은 약 3만㎢이지만 우기에는 면적이 약 13만km²로 확장된다. 원시림을 포함한 삼림지대는 전국토의 29%를 차지한다. 거주민과 야생동물들에게 삶의 터전을 제공해주는 백나일강은 수도 주바를 비롯한 여러 지역을 관통하며 남쪽에서 북쪽으로 흐른다.
남수단에는 수많은 종의 동물군과 식물군이 서식한다. 에티오피아 국경선 근처의 자연보호구역인 보마(Boma)국립공원과 수드 습지대, 콩고 국경선 근처의 남부국립공원은 사슴영양·오릭스·콥(kob)·토피(topi) 등 다양한 종류의 영양과 물소, 코끼리, 기린, 사자 등 야생동물의 서식지이다. 또, 삼림지대에는 봉고영양, 자이언트숲멧돼지, 덤불멧돼지, 숲코끼리, 침팬지, 원숭이 등이 서식한다. 위에 언급한 곳 외에도 보마-종글레이(Boma-Jonglei), 밴딩길로(Bandingilo)국립공원, 제라프(Zeraf)야생동물보호구역 등의 자연보호구역이 있다.
천연자원으로는 석유, 철·금·은·구리·석탄·우라늄·크롬·아연·운모·다이아몬드·석영·텅스텐 등의 광물, 티크·마호가니·아라비아고무 등의 산림자원, 풍부한 수력자원과 비옥한 농경지를 보유하고 있다. 1년 내내 기온이 높고, 습기가 많은 적도 기후로, 강수량이 아주 많다. 대략 4월에서 11월까지 우기가 지속되며, 연평균 강우량은 약 1,500mm이다. 남쪽 고지대의 강우량이 특히 많고 북쪽으로 갈수록 강우량이 적어진다.
3. 남수단 국가개요 : 두산백과사전 자료임..^^
위치 : 아프리카 동북부
경위도 : 동경 31° 37′, 북위 4° 51′
면적 : 619,745
시간대 : UTC+3
수도 : 주바(Juba)
종족구성 : 딩카족, 누에르족 등 200여 부족
공용어 : 영어
종교 : 토착종교, 기독교
건국일 : 2011년 7월 9일
국가원수/국무총리 : 살파 키르 마야르디트(Salva Kiir Mayardit, 2011년 7월 9일 대통령 취임)
국제전화 : +211
정체 : 공화제
통화 : 남수단 파운드(South Sudanese pound, SSDG)
인터넷도메인 : .sd
4. 남수단 역사 : 두산백과사전 자료임..^^
딩카족, 누에르족 등 나일제족들은 10세기 이전에 지금의 남수단 지역으로 들어왔고, 15~19세기에 부족 이동을 하며 바르 엘 가잘(Bahr el Ghazal)을 중심으로 널리 퍼졌다. 남서수단족에 속하는 잔데족은 16세기에 남수단에 들어와 서에콰토리안 지역을 중심으로 정착하였다. 그 후 오랜 동안 크고 작은 국가들이 비교적 조화롭게 공존하고 있었으나 무역품을 조달하고 시장을 개척하려는 유럽인들의 야욕으로 인해 평화가 깨지고 말았다. 당시 남수단 지역은 노예, 금, 상아, 목재 등의 조달처가 되어 수많은 사람들과 자원을 약탈당했다.
1870년대에 이집트는 현재의 남수단 지역에 에콰토리아주(州)를 세우고 이곳을 식민지로 삼았다. 1882년 영국이 수단을 침략하였고, 1885년 수단 북부에 수립된 이슬람 국가의 군대가 이 지역을 침범하였으나 1898년 영국군이 이 세력을 몰아냈다. 1899년 수단 전지역에 영국-이집트 공동통치가 시작됐다. 당시 영국은 수단 북부와 남부를 분리하여 통치하였는데 이때부터 현대의 남수단 역사가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1947년 영국과 북부 수단, 남부 수단 대표자는 주바회의(Juba Conference)를 통해 두 지역을 하나의 식민지로 통합할 것을 합의하였으나 남부 수단은 이를 반기지 않았다. 1956년 수단은 독립을 이루어 남부와 북부는 하나의 국가가 되었다. 하지만 수단 북부는 이슬람교를 믿는 아랍계 민족, 남부는 토착 신앙과 기독교를 믿는 아프리카계 흑인으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종교·인종·문화적인 이질감이 심했다. 이로 인해 1955년 남북 내전이 발생했고, 내전이 수습되지 않은 채 수단은 하나의 국가로 독립되었으나 남부와 북부는 한 국가라는 틀에서 공존하기 힘든 상황이었다.
북부 아랍계 중앙정부는 정치적 경험과 교육적 토대, 경제적 인프라가 열악한 남부를 정치와 개발에서 철저히 소외시켰고, 이슬람교로 개종하고 이슬람식 이름을 사용하도록 강요했다. 이에 남수단인들이 반발하여 일어난 1차 내전은 1955년부터 1972년 평화협정이 체결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이후 중앙정부가 남부 수단에 이슬람 샤리아법을 적용하려고 하는 등 다시 이슬람화 정책을 추진하자 남부 수단 반군세력인 수단인민해방운동(SPLM)은 수단인민해방군(SPLA)을 조직해 저항했다. 결국 1983년 남북 분리를 요구하며 시작된 2차 내전은 2005년까지 이어졌다. 이렇게 39년에 걸쳐 치른 두 차례의 내전으로 남수단에서만 250만 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고, 500만 명에 이르는 피난민이 생겼다.
마침내 2005년 1월 포괄적 평화 협정이 체결되었는데, 협정 내용은 6년간의 자치권을 가진 뒤 2011년 남수단의 국민투표로 분리 독립 여부를 결정하자는 것이었다. 결국 2011년 1월 실시된 국민투표 결과 투표인의 98%가 분리 독립을 찬성하여 2011년 7월 9일 남수단은 주권국가로 독립하였다. 같은 달 14일 유엔의 193번째 회원국으로 등록하였고, 28일 아프리카연합에 가입하였다.
5. 남수단 정치 : 두산백과사전 자료임..^^
국가 형태는 공화국이고, 정부 형태는 대통령제이다. 대통령은 국가 정상이자 행정부의 수반이고 10개 주(州)의 대표이자 군 통수권자로, 임기는 4년이다. 입법기관인 의회는 이원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국회의원 의석은 170석, 임기는 4년이다. 내각은 대통령에 의해 지명되고 입법부 결의를 의해 승인된다. 정당으로는 수단인민해방운동(SPLM), 국민회의당(NCP), 민주적 변화를 위한 수단인민해방운동(SPLM-DC) 등이 있다. 사법기관은 대법원, 고등법원, 지방법원이 있다.
남수단 정치 세력의 근간은 SPLM이다. SPLM은 1983년 수단 정부의 아프리카계 차별정책과 군정, 지나친 이슬람화 정책에 반기를 들고 결성되어 2005년까지 정부군과 2차 내전을 이끌었다. 2005년 1월 체결된 평화협정으로 남수단의 자치권이 인정되었을 때, SPLM의 창설자이자 지도자로 내전을 이끌었던 존 가랑(John Garang)이 자치 정부의 대통령을 맡았다.
남수단 분리 독립의 기틀을 만듦으로써 남수단의 국부로 평가받는 존 가랑이 2005년 7월 의문의 헬기 추락사고로 사망하자, 당시 부통령을 맡았던 살파 키르 마야르디트(Salva Kiir Mayardit)가 그 자리를 물려받았다. 결국 2011년 7월 9일 남수단이 수단으로부터 분리 독립하고, 살파 키르 마야르디트가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 초대 국회의 의석은 SPLM이 약 94%(159석)를 차지했다. 2011년 7월 현재 2005년에 제정된 임시 헌법이 남수단 공화국의 헌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6. 남수단 주민, 사회, 문화 : 두산백과사전 자료임..^^
주민) 2008년 기준 인구수는 826만 명이다. 남수단에는 200개가 넘는 부족들이 있는데, 크게 나일제족(Nilotic), 나일-함족(Nilo-Hamitic), 남서수단족(South-Western Sudanic)으로 나눌 수 있다.
남수단에서 가장 많은 인구수를 차지하고 있는 나일제족에는 딩카족(Dinka, 15%), 누에르족(Nuer, 10%), 실루크족(Shilluk), 무를레족(Murle), 카치오포족(Kachiopo), 아뉴아크족(Anyuak), 아촐리족(Acholi), 랑고족(Lango), 오투호족(Otuho) 등이 포함된다. 나일-함족에는 바리족(Bari), 문다리족(Mundari), 카크와족(Kakwa), 포줄루족(Pojulu), 쿠쿠족(Kuku), 라투코족(Latuko) 등이 있다. 남서수단족으로는 잔데족(Zande), 크레시족(Kresh), 발란다족(Balanda), 반다족(Banda), 은도고족(Ndogo) 등이 있다.
남수단인들은 대부분 마르고, 키가 아주 큰 체형이다. 주로 씨족 공동체 생활을 하며, 대부분 농업과 목축업에 종사한다. 토착 종교와 기독교를 믿는 이들이 많으며, 이슬람교도가 대다수를 차지하는 수단과는 달리 남수단의 이슬람교도는 소수에 지나지 않는다. 1990년대 초에 기독교인은 인구의 10% 미만이었지만, 2005년에 이르러 기독교인이 약 200만 명으로 늘었다고 한다. ‘영혼의 힘’을 신봉하는 부족들도 많아서 점쟁이, 기우사(祈雨師), 주술사가 많은 영향력을 갖고 있다.
공식어는 영어이다. 수도 주바 지역에서는 혼성어인 주바 아랍어가 쓰이기도 한다. 부족사회에서 통용되는 언어도 많은데, 그중 서나일어(Western Nilotic language)인 딩카어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약 200~300만 명). 그 다음으로는 누에르어가 많이 쓰이고, 실루크어, 바리어, 오투호어, 잔데어 등도 꽤 사용된다.
사회) 아프리카계 흑인으로 이루어진 씨족 공동체 사회로, 가깝고 먼 친척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이 마을을 이루어 생활하고 있다. 마을은 족장이 다스린다. 전통적으로 성별, 나이, 지위에 따라 노동 영역이 달라지는데, 남성들은 가족을 부양하고 여성들은 집안일을 한다. 대부분의 노동인구는 농업과 목축업에 종사하고 있다. 기독교인도 많지만 토착 종교의 영향력이 큰 편이다.
오랜 내전과 심각한 경제 상황으로 인해 사회 곳곳에 가난이 팽배해 있다.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이 하루 1달러 정도로 연명할 만큼 주민들의 생활수준은 아주 열악하다. 전기는 대부분 값비싼 디젤 발전기에 의해 생산되며, 수도 시설도 거의 없는 상태이다. 열악한 의료 사정 때문에 5세 미만 유아의 사망률이 11%에 이르고, 산모 사망률 또한 세계에서 가장 높다. 성인 문맹률 또한 75%에 이른다.
교육제도는 수단의 제도와 동일한 8+3+4 시스템(8년의 초등교육, 3년의 고등교육, 4년의 대학교육)으로 이루어져 있다. 텔레비전 방송국은 정부에 의해 통제되며, 몇몇 민간 FM 방송국이 운영된다.
문화) 남수단의 문화에는 다양한 언어, 부족, 종교, 음식, 전통이 어우러져 있다. 남수단인들은 일반적으로 성별, 나이, 지위에 따라 그룹을 이루어 식사를 한다. 주식은 우유, 쇠고기, 양고기, 기장, 사탕수수, 토종 채소, 콩, 꿀 등이다. 모든 부족사회는 성인식을 치르는데, 성인식에서는 주로 아랫니 제거, 페이스 페인팅, 특별한 구슬옷 착용, 할례 등의 풍경을 볼 수 있다.
보통 결혼은 개인보다 가족의 일로 여겨져 부모들이 자식들의 결혼을 계획하며, 결혼을 허락받기 위해 신랑측이 신부의 가족과 친척에게 신부값(bride-price)을 치르는 풍속이 유지되고 있다. 이혼은 금기시되어 있지만 아주 심각한 문제로 인해 이혼을 할 경우 신부값 전부 혹은 일부를 신랑측에 돌려주어야 한다. 아이가 태어나면 계절이나 사건 또는 친척의 이름을 따서 이름을 짓는 경우가 많다.
딩카족 사회에서는 남편은 오른쪽, 부인은 왼쪽에 매장된다. 몇몇 부족사회에서는 죽은 남편의 가까운 친척에게 아내를 물려줌으로써 혈통을 잇는 풍습이 있다. 또, 어떤 부족사회에서는 남편이 죽을 경우 아내가 직접 새로운 남편을 고르기도 한다.
남수단은 전통적인 게임과 스포츠로 유명한데, 특히 레슬링과 모의전투를 즐긴다. 전통 레슬링은 원래 추수를 끝낸 후 이를 축하하기 위해 행했던 놀이로, 황토를 몸에 칠한 건장한 청년 두 명이 싸우게 된다. 레슬링이 벌어지는 동안 관객들은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고, 드럼을 치면서 응원을 보낸다. 현대 스포츠 중 가장 많이 즐기는 것은 축구이다.
7. 남수단 종교 : 토착종교, 기독교
토착 신앙 신자가 대부분을 차지하나, 영국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수단 성공회나 개신교, 로마 가톨릭 등을 소수 믿는다.
8. 수단과의 분쟁
1) 송유관 사용료 분쟁 (3년 6개월만에 타결) : 2012년 8월 5일 서울경제 기사임..^^
사진저작권자: 머니투데이
수단과 남수단을 전면전 직전까지 끌고 갈 정도로 첨예했던 송유관 사용료 분쟁이 마침내 타결됐다. AP통신은 2012년 8월 4일 양국이 에티오피아 수도 아디스아바바에서 장시간 협상한 끝에 석유 수출과 관련한 금전 문제에 대해 합의했다고 말했다. 협상은 타보 음베키 전 남아공 대통령이 이끈 아프리카연합(AU)의 중재 아래 이뤄졌다.
남수단 정부는 이날 성명을 통해 수단 정부와의 협상이 타결됐으며 수단의 송유관을 통해 수출용 원유를 수송할 경우 배럴당 9.48달러, 수출 전 정제를 위해 원유를 수송하는 데는 배럴당 11달러를 지급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그동안 수단은 남수단이 배럴당 36달러를 내야 한다고 요구해왔다. 이와 함께 지난해 남수단이 수단에서 독립하면서 수단이 석유 수입에 타격을 입게 된 것을 보상하는 차원에서 남수단은 수단에 30억달러를 지급하기로 했다.
수단은 아프리카 석유 매장량 5위의 산유국이었지만 지난해 7월 유전이 집중된 남수단이 독립하면서 양국은 석유 수입배분 문제로 분쟁을 벌여왔다. 수단 석유의 75%가 남수단에서 생산되지만 내륙 지역인 남수단이 석유를 수출하기 위해서는 홍해와 접한 수단의 송유관을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독립 이후 남수단은 수단에 보상금 및 송유관 이용료를 내기로 했지만 수단은 송유관 이용료를 제대로 내지 않는다고 불만을 제기하고 남수단은 수단이 자국의 석유를 훔치고 있다고 비난해왔다. 이 때문에 남수단은 지난 1월 석유 생산을 중단했으며 양국은 접경 지역에서 무력충돌을 벌이는 한편 상대국의 유전을 폭격해 확전 양상을 보이기도 했다.
[출처] 남수단 국가정보 (북아프리카)|
'80일간의세계일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터키 기본회화 (0) | 2013.09.01 |
---|---|
5불생활자 세계일주 바이블 - 2년동안 세계일주 정말 하고 싶다.. (0) | 2013.01.12 |
[스크랩] 해외여행시 알아두면 편리한 영어 몇마디 (0) | 2010.02.09 |
[스크랩] 유아에게 영어로 말건네기 295가지 (0) | 2010.02.09 |
[스크랩] 신체부위별 증상 표현 (0) | 2010.02.09 |